기존 4개에서 20개로 늘어나…피해자 2000명 추가 확인
소액결제 피해자도 늘어나 개인정보 추가 유출 우려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 불법 기지국 접속자와 피해자 수가 당초 알려진 규모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KT의 불법 기지국 식별번호(ID)는 기존 4개에서 20개로 늘어났으며, 불법 기지국에 접속한 인원 수도 기존 2만 30명에서 2000여 명 증가한 2만 2000여 명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황 의원은 "KT가 발표한 피해 규모와 실제 피해 규모 간의 괴리가 크다"며 "추가 피해를 부정하던 KT의 주장이 허위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 |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에 대한 청문회에서 김영섭 KT 대표가 고개 숙여 인사하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불법 기지국에 연결된 이용자의 휴대전화 번호,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개인정보가 이미 유출된 점을 고려하면, 새로 확인된 2000여 명의 개인정보도 노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KT는 무단 소액결제 사건 피해자를 362명으로 집계하고 있으며, 경찰은 지난 13일 기준 220명으로 파악 중이다.
황 의원은 "KT 발표 수치와 경찰 수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아 추가 피해가 더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피해가 없다는 식으로 상황을 모면하려던 KT의 거짓말이 결국 드러났다. 반복적이고 악의적인 축소·은폐 행태에 대해 징벌적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KT는 지난 14일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추가 피해에 대해 부인한 바 있다. 당시 이현석 KT 부사장은 황정아 의원의 추가 피해자 관련 질의에 "들어온 정보는 없다"고 답한 바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