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의뢰 연구 수행 결과 발표
5000억원 투자 시, 360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한국 의약품산업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요 첨단전략산업에 비해 생산규모는 작지만, 동일한 금액을 투자할 경우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의뢰로 수행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성과 및 발전방향 연구' 결과를 21일 공개했다. 연구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됐다.
![]() |
[자료=한국제약바이오협회] |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2020·2022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반도체·디스플레이·의약품 등 3대 첨단산업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산업은 부가가치와 고용유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유발효과는 디스플레이, 의약품, 반도체 순이었다.
특히 각 산업에 5000억 원을 투자할 경우 의약품산업은 3600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보다 약 1.22배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고용유발효과는 2055명으로, 반도체의 2.6배, 디스플레이의 1.26배에 달했다.
연구는 또한 제네릭 의약품 활성화가 감염병 대응력과 재정 효율화에 실질적 기여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표 사례로 인플루엔자 치료제 '타미플루(성분명 오셀타미비르)'를 분석한 결과, 제네릭 출시 이후 오리지널 약가가 약 40% 하락했고, 2019~2023년 5년간 총 1283억 원의 건강보험 재정이 절감된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오리지널 단독 처방 대비 평균 34.7%의 절감 효과에 해당한다.
또한 연구팀은 소화성궤양 치료제(위궤양·위식도역류질환) 사례를 통해 제약산업의 사회적 후생 효과도 추계했다.
최근 10년간 처방금액과 환자 수, 치료비용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처방금액이 100만 원 증가할 때 병원 방문일수는 3일, 보험청구 건수는 2.9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 이용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백신 분야에서도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공공 기여도가 확인됐다. 2023년 국내 백신 시장 규모는 5060억 원으로 2019년 대비 52% 증가했으며, 국내 생산액은 3219억 원으로 연평균 16.3% 성장했다. 예방접종 대상 백신 자급률도 2019년 52.8%에서 2023년 63.6%로 높아졌다.
다만 전체 22개 백신 중 절반가량(11개)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 개발이 과제로 꼽혔다. 보고서는 WHO PQ(사전적격성평가) 인증과 국제 조달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공중보건에 기여하고 있는 국내 기업 사례로 ▲GC녹십자(지씨플루) ▲유바이오로직스(콜레라 백신) ▲SK바이오사이언스(스카이코비원) 등을 꼽았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정지은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부가가치 창출과 고용 확대에 기여하는 제약바이오산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공공 재정 절감에도 기여하는 가치가 큰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백신·희귀난치병치료제·원료의약품 등 수익성은 낮지만 공공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 기술 성과 확보와 공동 개발을 지원해 기업들의 혁신과 생산을 유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상체계나 우대제도 마련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