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180동 중 132동 복구 의사, 58세대 신축
주택 복구비 상향 및 민관 협력 체계 강화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가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도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 복구 지원에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21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도민 삶의 터전을 지키는 일은 행정의 기본이자 최우선 과제"라며 "피해 주민들이 신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맨 왼쪽)이 21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집중호우 피해 지역 맞춤형 주택 복구 지원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10.21 |
지난 7월 집중호우로 도내 주택 1415동이 피해를 입었다. 이 가운데 전파 180동, 반파 109동, 침수 1126동으로 집계됐다. 침수 주택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대부분 복구를 마쳤으며, 반파 주택은 109세대 중 73세대(약 67%)가 복구를 완료했다.
전파 주택의 경우 180세대 중 132세대가 복구 의사를 밝힌 가운데 58세대는 신축, 9세대는 매입 또는 임대를 추진 중이다. 나머지 65세대는 복구 방식을 협의하고 있다. 도는 연말까지 설계 및 인허가를 마친 뒤 착공해 내년 상반기 입주를 목표로 신축을 추진한다.
산청군 상능마을(13세대)은 주민 전원이 이주를 원해, 현재 이주단지 조성 절차를 진행 중이다. 도는 주민 협의를 거쳐 최종 입지를 확정하고, 이주 완료까지 약 2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민 지원 규모도 확대됐다. 경남도의 건의로 주택 복구비 상향이 확정돼 전파 주택은 최대 9950만 원, 반파 주택은 5000만 원, 침수 주택은 700만 원까지 늘었다.
전체 대상의 77%에 지원금 지급이 완료됐으며, 무허가 주택 등 미지급분은 적법 복구 후 즉시 지급된다.
경상남도건축사회는 설계·감리비의 50%를 감면하고, LX한국국토정보공사는 지적측량 수수료를 전액 면제했다. 우리은행은 전파 주택 최대 1억3,600만 원 한도의 저금리 융자를 지원하고, 시군은 복구 주택의 취득세를 면제하고 있다.
경남도는 피해 복구 과정에 민간과의 협력 체계도 강화했다. 지난 5월 구성된 '경상남도 희망드림봉사단'은 건축·전기·소방·기계설비 등 6개 전문단체가 참여해 재난 초기 하동·산청·합천군 피해 주택 16세대의 안전점검과 구조진단을 지원했다. 추가 요청 시 반파 주택을 중심으로 현장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피해 규모가 큰 산청군과 합천군에는 '동행복구단'을 투입한다. 동행복구단은 공무원, 건축사, 마을 대표가 참여해 설계부터 입주까지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며, 이달 중 구성 완료 후 본격 복구에 돌입한다.
신종우 국장은 "주택 복구와 지원이 피해 주민의 생활 회복으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현장을 챙기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