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나눔티켓사업을 위해 문화예술단체로부터 기부받은 공연티켓 63% 이상이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개선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나눔티켓 사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문화예술단체로부터 기부받은 무료티켓과 할인티켓 을 문화누리카드 회원 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제도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계원 국회의원(전남 여수을)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제출받은 '나눔티켓 기부 및 이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 최근 5 년간 나눔티켓사업으로 기부받은 공연티켓 32만 430장 가운데 36.6%인 11만 7460장만이 문화향유에 활용되고 나머지 20만 2970 장 (63.3%) 은 사장되었다. 기부티켓 10장 가운데 6장은 못 쓰고 버려지고 있는 셈이다.
![]() |
지난 2021년 ~ 2025년 8월까지 지역별 나눔티켓 기부 수를 살펴보면 충북이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전남 420 건, 세종 750 건, 충남 760 건, 대전 785 건 순으로 나눔티켓 기부 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 서울이 22만 5467건, 경기가 3만 3568건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충북은 최근 5년 동안 , 지역 내 나눔티켓 기부참여 업체도 0곳 , 나눔티켓 기부 수도 0건으로 나타났다.
![]() |
같은 기간, 지역별 기부받은 나눔티켓 중 이용매수를 살펴보면 세종이 38건으로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제주가 127건, 전남이 208건, 충북이 231건, 광주가 416건으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서울은 5년 동안 6만 8789건 , 경기는 2만4100건을 기록해 최하위인 세종과의 격차가 각각 약 1810배, 약 634배가 차이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남의 경우 2021년 ~2025년 8월까지 420장의 기부가 이루어졌지만 지역 내 실제 이용매수는 208건에 그쳐 절반도 안되는(49.5%) 이용률을 보였다. 문화예술 인프라가 잘 구축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드러나는 대목이다.
나눔티켓 활용률이 낮은 이유론 홍보 부족도 한몫했다. 실제로 지난 5년간 나눔티켓 홍보 집행액을 살펴보면, 2023년까지는 집행액이 꾸준히 늘었으나 24년부터 급격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 |
조계원 의원은 "기부된 티켓 중 실제 이용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저조한 것이 드러났다. 이는 단순한 행정의 비효율을 넘어 문화예술계의 소중한 기부와 나눔의 뜻을 퇴색시키는 결과"라고 말하며 , "지역의 문화 인프라 부족 문제를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제도의 주 이용 대상인 저소득층에게 홍보도 잘 안되었고 티켓을 받아도 이용률이 낮은, 총체적 난맥상"이라고 말하며 , "'나눔티켓' 사업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한 전면적인 쇄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