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개최
연금공단, MBK 투자로 9000억 날려
KT 전 대표 연임에 반대 의견 이례적
김태현 이사장 "심사 체계 지적일 뿐"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에 투자했지만,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로 손실을 낸데 대해 책임을 통감했다. 반면 윤석열 정부의 외압에 따라 구현모 KT 전 대표 연임에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정면 반박했다.
복지위는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MBK·홈플러스 사태, KT 전 대표 연임 관여, 국민연금 지속성, 국내 주식 투자 비중 조정 등에 대한 질의를 이었다.
◆ 연금공단, MBK 차입매수 알면서도 투자…국민 혈세 9000억 날려
여당 의원들은 MBK·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지난해 국감에서 질타했으나 개선하지 않고 있다가 국민에게 더 큰 피해를 줬다며 거센 비판을 가했다.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의 탐욕적 약탈적 행태에 대해 지난 국정감사에서 굉장한 질타가 있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금공단은 올해 2월 최종 계약을 체결하고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이 신청됐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홈플러스 인수할 당시 총 6121억원을 투자했다. 현재 원금과 이익을 합쳐서 3131억원을 회수했으나 받아야 할 금액은 공정가치로 9000억원이다. 김 이사장은 상환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민연금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10.18 leehs@newspim.com |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국감에서 사모펀드를 배제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입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며 "결국 홈플러스 근로자를 해직시켰고 홈플러스 자산을 팔아 자기 이익을 챙기고 빚덩이는 국민에게 떠넘겼다"고 지적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이사장은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면서 차입매수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며 "부동산 장사를 하겠다는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기관투자자로서 적합하느냐"고 질타했다.
김 이사장은 "담보가치를 중심으로 판단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MBK의 약탈적인 이익 창출에 국민연금이 도운 결과"라고 꾸짖었다.
김 이사장은 결국 "투자한 기업으로 인해 고통받은 부분에 대해 이사장으로서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사죄했다. 이날 증인으로 참석한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도 "홈플러스 회생으로 고통을 드려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 구현모 KT 전 대표 연임에 반대 의견…김태현 이사장 "현직자 우선 심사 때문"
윤 정부의 외압에 따라 구현모 KT 전 대표 연임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연금공단은 2022년 말 KT 이사회가 구 전 대표를 차기 CEO 단독 후보로 선임하자 후보 결정이 경선의 기본 원칙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서원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이 취임 하루 만에 인사 반대 입장을 발표한 것이다.
![]()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민연금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10.18 leehs@newspim.com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구 전 대표는 지난 20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나와 'KT 정관에 따라 연임에 도전했는데 서 본부장이 이례적으로 반대하는 자료를 냈고 당시 이관섭 정책기획수석이 아는 사람을 통해 사퇴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전했다'는 말을 했다"며 "연금공단의 개입으로 KT 수장은 9개월 동안 공백이었고 그러다 보니 수익률이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서 본부장은 보도자료 배포 경위에 대해 "당시 기자들의 문의가 많아서 어떤 방법으로 대응하면 좋겠냐고 했을 때 설명자료로 대응하면 좋겠다는 얘기가 나왔다"며 "투명하고 공정하게 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했고 해명했다.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취임한 지 하루 만에 이 판단을 해서 어떤 절차를 공식적으로 거치지 않고 보도자료에 대응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용산이 걸어 놓은 어떤 프로젝트 안에서 역할을 한 것밖에 판단이 안 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이사장은 "그 사람에 반대한 것은 아니다"며 "당시 KT가 현직자 우선해 심사받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sdk199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