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선임기자 = 서울 상봉역·용마산역·창2동 주민센터 3곳이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새로 지정됐다. 이들 사업지구에서는 총 2148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31일 서울 상봉역, 용마산역, 창2동 주민센터가 각각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된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선호도 높은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 정비가 어려운 노후 도심을 대상으로 공공이 주도해 용적률 등 혜택을 부여하고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  | 
| 상봉역 인근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조감도 [자료=국토부] | 
이번에 지정된 복합지구들은 예정지구 지정 이후 주민 3분의 2 이상의 동의(토지면적의 2분의 1 이상)를 확보하고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및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심의를 마쳤다. 향후 통합심의를 거쳐 2027년 복합사업계획을 승인받고 2030년 착공될 예정이다.
이번 지정에 따라 상봉역 인근은 781가구, 용마산역 인근은 783하구, 창2동 주민센터 인근은 584가구의 공공주택이 들어서게 됐다.
|  | 
| [자료=국토부] | 
이번 복합지구 지정을 통해 총 49곳의 도심복합사업지 중 26곳, 총 4만1000가구 규모의 지구 지정이 완료됐다.
국토부는 지난 9월 7일 '주택공급 확대방안'에서 발표된 도심복합사업 제도 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등 후속조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공공주택 특별법'을 개정해 건축물 높이 제한 완화 등 특례를 추가하는 한편 통합심의 범위에 환경영향평가, 소방성능설계를 추가하여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또한 연내 시행령을 개정해 현재 준주거지역에서만 적용되던 용적률 법적상한의 1.4배 완화 특례를 주거지역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토부 김배성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주민들이 주택공급 성과를 조속히 체감하실 수 있도록 향후 주민 의견수렴을 강화하고 지자체·사업자와 적극 협조해 복합사업계획승인 절차를 지원하겠다"며 "또한 2030년까지 5만가구 착공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추가로 복합지구를 지정해 올해 말까지 총 4만8000가구 이상 규모의 복합지구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