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내년부터 적용되는 배출권거래제(K-ETS) 4차 계획기간에서 산업계에 배분되는 사전 할당량이 약 18% 감소하고, 유상할당 비중이 확대되면서 철강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비용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발전 부문의 유상할당 비율 상향은 전력요금 인상으로 이어져 산업 부문의 간접 부담까지 확대될 것으로 지적된다.
![]() |
| 5일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가 스틸코리아 행사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찬우 기자] |
5일 열린 스틸코리아 행사에서 '배출권거래제 4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주요 내용 및 이슈' 발표를 맡은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4차 계획기간의 총 허용 배출량은 기존 대비 약 16% 줄고 사전 할당량은 18.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기에 시장 안정화 예비분 1억톤가량을 총량 안에서 떼어 배분하는 구조여서 기업이 체감하는 할당 감소폭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발전 부문은 유상할당 비율이 2030년까지 50%로 단계 확대될 예정으로, 이에 따라 발전 공기업의 배출권 구매량 증가→전력도매가격 상승→산업 전력비 전가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배출권거래제는 기업이 배출한 온실가스량만큼 배출권을 할당받거나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허용된 총 배출량(cap)을 정해두고 감축 비용이 낮은 기업이 더 팔고, 비용이 높은 기업은 사들이는 방식으로 감축을 유도한다. 따라서 총량과 할당 비중이 바뀌면 산업계의 실질 비용 구조가 달라진다.
김 변호사는 "발전 부문의 유상할당 확대는 철강을 포함한 산업 부문에도 간접 부담을 유발한다"며 "환경부 분석 기준, 배출권 가격 3만원 가정 시 제조업 전력비는 연간 약 2.5조원, 철강업은 약 3000억원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K-ETS 시장은 잉여 배출권으로 인해 가격이 낮지만, 4기 중반 이후에는 5만원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할당 감소·전력비 상승·배출권 가격 상승이 삼중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럽은 발전 부문 100% 유상할당을 하되, 경매 수익의 최대 25%를 산업 전력비 보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한국도 배출권 경매 수익을 산업 부담 완충에 활용하는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chanw@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