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6·27 대책 영향 2분기 23.8조원→12조원 증가세 '뚝'
판매신용, 휴가철·재산세 납부 신용카드 사용 늘어 3조원 증가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올해 3분기 중 가계신용이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 가계부채 대책의 정책 효과로 전분기보다 증가폭이 둔화됐다.
한국은행은 18일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에서 가계신용 잔액이 전분기말 대비 14.9조원·0.8% 증가한 1968.3조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분기중 가계대출은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전분기 대비 25.1조원·1.3% 증가해 증가폭이 과도하다는 우려가 나왔었다.
3분기 중 가계대출 잔액은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모두 증가폭이 줄어 전분기말 대비 12조원 증가한 1845조원이었다. 전분기에는 23.6조원·1.3조원 증가해 가계부채 증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상품별로는 주택담보대출(2분기 14.4조원 증가→11.6조원)은 6·27 가계부채관리 방안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9.2조원→0.3조원)도 신용대출이 감소전환하며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정부의 6·27 대책에서는 신용대출 한도를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제한한 영향을 의미한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은 주담대와 기타대출이 감소전환하며 증가폭이 전분기 19.3조원에서 3분기 10.1조원 증가로 축소됐으며 비은행예금취급기관(3.0조원→2.0조원)도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금융기관은 전분기 1.3조원 증가에서 증권사의 신용공여 증가폭이 축소되면서 0.1조원 감소로 전환했다.
반면 판매신용은 휴가철 신용카드 사용과 재산세 등 지방세 납부 수요증가 등으로 신용카드 이용규모가 늘면서 전분기 대비 3조원 증가했다. 전분기 1.5조원 증가에 비해 증가폭이 두배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한은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세 이내로 관리되는 것을 적정하다고 보고 있다"며 "3분기 가계신용 증가율 0.8%는 아직까지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3분기 명목 GDP 증가율보다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어 "명목 GDP는 실질 GDP 증가율에 명목 GDP 디플레이터 증가율을 합쳐서 산출되기 때문에 3분기 명목성장률은 실질 GDP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은은 앞서 지난달 3분기 실질 GDP 증가율이 전기보다 1.2%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 |
| [자료=한국은행] 2025.11.18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