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발표
"올해 수출 2.5% 증가…내년 0.5%↓"
"소비 1.7% 증가…설비 투자 1.9%↑"
"국제유가 59달러…환율 1390원 전망"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내년도 한국 경제가 1.9%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출은 올해보다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원장 권남훈)은 2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년 경제·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 "올해 수출 2.5% 증가…7000억달러 돌파" 전망
산업연구원은 우선 "2026년 국내 경제는 미국발 무역 갈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이 전년도의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진단했다.
이어 "소비의 견조한 증가세, 정부의 확장적 재정 기조 등으로 내수가 성장의 모멘텀으로 작용하면서 연간 1.9% 성장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또한 "대외적으로 미국의 관세 부담에 따른 거시적 영향 정도, AI 중심 ICT 경기 호조의 지속 여부, 주요국 재정·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등이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며 "대내적으로는 내수 회복의 강도 및 지속 여부, 수출 둔화 정도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 |
구체적으로 수출 전망(통관 기준)은 올해 2.5% 증가한 7005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0.5% 줄어든 6971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도 수입은 0.3% 감소하고, 무역수지는 675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연은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 기조,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의 일부 완화, AI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세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나, 글로벌 경기 부진 및 교역 둔화, 전년도의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 내년 소비 1.7% 증가…건설투자 2.7% 회복 전망
내년도 소비는 올해보다 1.7%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물가와 금리의 하향 안정화 속에 실질소득 및 가계소득 증가, 정부 지원책 등이 소비 여건의 개선과 소비심리의 안정세로 이어지면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는 설비투자가 1.9% 증가하고, 건설투자는 2.7%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기업들의 자본조달 여건 개선, AI 관련 첨단산업 투자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유지되나, 글로벌 경기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 지속 등으로 제한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건설자재 비용의 안정화, 정부의 SOC 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감소세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누적된 미분양 주택, 주택 입주 물량 감소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 |
| [자료=산업연구원] 2025.11.24 dream@newspim.com |
◆ 국제유가 배럴당 59달러…환율 1390원 전망
내년도 세계 경제는 관세 영향과 경기 부양 기조하에서 전년보다 낮은 성장을 예상했다.
산업연은 "미국발(發) 통상 질서의 변화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관세 문제가 현재보다 악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 기조 등이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면서 전년보다 낮은 성장률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또한 내년도 국제유가는 배럴당 59달러, 환율은 1390원 내외로 전망했다.
산업연은 "2026년 국제유가는 글로벌 원유 수요가 제한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산유국들의 생산조정 강도 및 재고 둔화 여부 등이 주요 관건으로 작용하면서 2025년보다 낮은 수준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한 달러화 약세 요인에도 불구하고, 대외 불확실성 지속과 우리나라 수출 둔화 가능성 등으로 인해 원화 강세 폭이 제한되면서 2025년보다는 낮은 수준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
| [자료=산업연구원, 한국석유공사] 2025.11.24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