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민간 주관 4차 발사 성공
센서 이상으로 18분 발사 지연
2027년까지 상업 운용 본격화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민간 기업 주관 하에 성공적으로 발사, 국내 우주 산업이 본격적인 뉴스페이스(News Space) 시대로 진입했다.
누리호는 27일 오전 1시 13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포함한 총 13기 위성을 모두 정상적으로 고도 600km 궤도에 사출했다고 이날 밝혔다.
![]() |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오전 1시 13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우주항공청] 2025.11.27 biggerthanseoul@newspim.com |
앞서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당초 오전 0시 55분 발사가 예고됐으나 18분 뒤인 오전 1시 13분으로 발사가 연기됐다. 누리호 자체의 문제가 아닌, 누리호 발사를 돕는 엄빌리칼 회수 압력 센서의 신호 이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압력은 정상이며 센서만의 문제"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4차 발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구성품 업체 관리부터 조립, 전체 제작 과정을 처음으로 총괄하고, 발사지휘 및 관제 등 주요 운용에도 직접 참여하면서 민간 체계종합기업의 본격적인 발사체 제작·관제 시대를 알렸다.
항우연은 기술이전과 운용을 담당해 민관 협업체계를 완성했다.
탑재체로는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다양한 임무를 띤 12기의 큐브위성이 실려, 과학적 데이터 확보와 산업·기술 실증이 동시에 수행된다.
3차 발사에 비해 새로 개발된 다중 위성 어댑터로 여러 위성을 동시 적재할 수 있게 되고, 상단 카메라가 추가되면서 사출 과정을 정밀하게 확인했다.
누리호는 비행 약 14분 뒤 주탑재체를, 이어 20초 간격으로 큐브위성 12기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고도화된 임무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위성 분리 여부는 나로우주센터, 제주추적소, 팔라우 추적소 등에서 실시간 추적을 통해 확인됐다.
이번 발사는 총 6회 반복발사 사업 중 네 번째 성과로, 정부는 2027년까지 국산 발사체의 상업 운용·플랫폼화를 본격 추진한다.
향후 5·6차 발사에서는 민간 참여 범위가 확대돼 민간이 주도하는 글로벌 우주 사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누리호 사업에는 총 6873억 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되고, 이를 통해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와 뉴스페이스 시장 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