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듀테크·학생·교사 교류·한국어 교육·ASEAN+3 협력 논의
한-싱가포르, 미래교육 협력 의제 구체화·성과 창출 추진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교육부는 28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싱가포르 교육부와 함께 '제1차 한-싱가포르 교육공동위원회(Joint Working Group, JWG)'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지난해 7월 체결한 한-싱가포르 교육협력 양해각서(MOU)의 후속 조치로 첫 공식 공동위원회를 열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할 미래교육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
![]() |
| 교육부 전경. [사진=교육부] |
이번 회의에는 양국 교육부 국장급이 수석대표로 참석해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정책 ▲교육 정보 기술(에듀테크) 활용 ▲학생·교사 교류 확대 ▲한국어 교육 도입 ▲아세안(ASEAN)+3 기반 공동 협력 강화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룬다.
한국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을 목표로 한 포용적 AI 교육체계와 학교 현장 디지털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싱가포르는 'Learn for Life(평생 동안 배우다)' 비전 아래 학습자 중심 교육체계와 수업 혁신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양국은 에듀테크 도입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하며 학생·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활용 모델을 모색하고 학교 간 상호 방문 등 교류 프로그램 확대 방안도 논의한다.
또 현재 싱가포르 정규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한국어 교육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과 아세안+3 교육협력 플랫폼을 활용해 동아시아 미래교육 논의로 협력을 확장하는 방향도 함께 검토한다.
이번 공동위원회에 앞서 양측 대표단은 26~27일 이틀간 서울과 대구의 학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중앙교육연수원 등을 방문해 AI·디지털 교육 정책 추진 사례를 공유했다.
하유경 글로벌교육기획관은 "한국과 싱가포르는 교육과 인재를 국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아 온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공동위원회를 계기로 양국이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 교육 정보 기술(에듀테크) 협력, 학생‧교사 교류, 한국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hyeng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