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 연말, 미래에셋·메리츠도 연초 임기 만료
구본욱 KB손보 대표, 내부 출신 첫 CEO…"1년 연임 유력"
남궁원·배성완 하나금융 '희비 교차'…생보 선전, 손보 부진
이영종 신한라이프 대표 '성과 최고'…지주 인사에 달린 연임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연말 보험업계가 최고경영자(CEO) 인사 시즌에 돌입했다.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주요 생명·손해보험사 CEO들의 임기가 잇따라 만료되면서 각 사의 실적뿐 아니라 금융지주·그룹 차원의 인사 기조에 따라 연임의 명암이 갈릴 전망이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지주 보험 계열사 중에서는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 이영종 신한라이프 대표, 남궁원 하나생명 대표, 배성완 하나손해보험 대표, 강병관 신한EZ손해보험 대표 등의 임기가 올해 말로 만료된다.
비(非)금융지주 보험사 중에서는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부회장과 황문규 미래에셋생명 부사장(각자대표, 내년 3월),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1월)가 인사 대상에 포함된다.
![]()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왼쪽부터)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 이영종 신한라이프 대표,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부회장, 황문규 미래에셋생명 부사장,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 [사진=각사] 2025.11.27 yunyun@newspim.com |
가장 주목받는 인물은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다. KB손보 창사 이후 첫 내부 출신 CEO로, 손해율 관리와 장기보장성 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을 주도하며 조직의 체질을 바꿔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 대표는 지난해 KB손보를 창사 이래 최대 순이익(8359억원)을 낸 회사로 끌어올렸고,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도 76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KB금융지주의 CEO 임기가 통상 '2+1년제'로 운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구 대표는 1년 연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영종 신한라이프 대표는 3년 간의 임기 동안 공격적 성장 전략과 통합 시너지로 신한라이프를 생보업계 2위권으로 끌어올린 주역이다. 2024년 신한라이프의 순이익은 5284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한화생명을 제치며 2위에 올랐다.
다만 '2+1년' 임기를 모두 채운 만큼 추가 연임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 차기 신한금융지주 회장 선임도 변수다. 이 대표는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의 측근으로 진 회장의 연임이 확정될 경우 이 대표 역시 재신임 가능성이 높지만 지주 인사 기조가 달라질 경우 교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남궁원 하나생명 대표는 취임 1년 만에 회사를 흑자 전환시킨 '재무통'으로 꼽힌다. 2024년 별도 기준 124억원의 순이익으로 적자 행진을 끊었고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도 17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개선됐다.
남 대표는 방카슈랑스 중심 영업에서 벗어나 신채널과 장기보험 중심 구조로 체질을 바꾸며 수익 기반을 안정화시켰다. 그러나 하나금융지주 내에서 생명·손보 대표가 연임에 성공한 사례가 드물다는 점은 변수다.
반면 배성완 하나손해보험 대표는 실적 부진 속에서 시험대에 올랐다. 배 대표는 지난해 취임 이후 디지털 중심 전략을 접고 장기보장성보험 중심의 대면 영업 체계로 전환하는 등 포트폴리오 재편에 집중했다. 그 결과 적자 폭이 2023년 879억원에서 지난해 280억원으로 줄었지만 올해 상반기에도 162억원 손실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뚜렷한 반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배 대표는 삼성화재 출신 외부 인사로 하나금융이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영입한 첫 손보 CEO지만, 실적이 걸림돌이다.
강병관 신한EZ손해보험 대표는 부진한 실적으로 연임 가능성이 낮게 점쳐진다. BNP파리바카디프손보 인수 후 2022년 출범한 신한EZ손보는 출범 3년째인 올해까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손실은 272억원으로 전년대비 두배로 늘었다.
디지털 보험 확대를 내세웠지만 시장 성장 한계와 비용 부담이 겹치며 수익성 개선이 지연됐다. 강 대표는 지난해 말 1년 연임을 부여받았으나 이번엔 재신임이 쉽지 않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비금융지주 보험사 중 미래에셋생명의 각자 대표이사인 김재식 부회장, 황문규 부사장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이고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이사는 내년 1월까지다.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대표는 2022년 말부터 미래에셋생명 단독 대표이사로 선임돼 조직 안정화에 주력해왔다. 특히 IFRS17(국제회계기준) 도입 초기 혼란을 최소화하며 투자형·변액보험 중심의 미래에셋 고유 모델을 강화한 점에서 긍정 평가를 받고 있다. 그룹 내 핵심 인물로 연임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황문규 대표는 지난달 미래에셋그룹 임원 인사에서 부사장으로 초고속 승진하면서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 가능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상무에서 전무, 다시 부사장으로 2년 만에 두 계단을 오른 만큼 그룹 내 입지가 강화됐다.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는 2023년 말 40대 젊은 CEO로 발탁돼 메리츠금융그룹 내 세대교체 상징으로 꼽힌다. 김 대표는 임기 초반부터 상품·조직 효율화 작업과 디지털 채널 강화를 병행하며 기존 메리츠의 영업 중심 문화를 재정비했다. 다만 내년 1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최근 손해율 상승과 자동차보험 손실 확대 등 업황 부담이 커진 점은 부담이다.
보험업계에선 이번 인사가 단순한 연임·교체를 넘어, 지주 및 그룹 전략 조정이 맞물린 복합적 인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의 연임 여부 및 그에 따른 지주 차원의 인사 기조가 보험사 CEO 교체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업권 CEO 인사는 성과만큼이나 그룹 내 세대교체 기조, 인사 균형, 조직 문화 재편이 함께 고려된다"며 "올해는 금융시장 불확실성과 IFRS17 정착, 비대면 영업 확산 등 구조적 변화까지 맞물리며 예년보다 인사 폭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