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잘나간 현대차, 작년 사상 최대 실적

기사입력 : 2012년01월26일 16:46

최종수정 : 2012년01월26일 16:46

- 매출 77조7979억원, 영업익 8조755억원..영업이익률 10.4%
- 판매호조 및 지분법 평가이익 증가가 실적호조 이끌어
- 올해 질적성장으로 새로운 도약 모색..유럽서는 공격경영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해외시장에서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매출은 80조원에 육박했으며, 영업이익도 8조원을 넘어 영업이익률이 10%대로 껑충 뛰었다.

현대자동차는 26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난해 자동차 67조1281억원, 금융 및 기타 10조6698억원 등 총 77조797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6.1%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대 실적으로 평가된다.

자료 : 현대차
또한 영업이익은 8조755억원, 경상이익 10조4471억원, 당기순이익 8조1049억원(비지배지분 포함)으로, 각각 36.4%, 39.5%, 35.1%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판매 110만9533대, 매출액 20조5190억원, 영업이익 2조1265억원, 경상이익 2조5455억원, 당기순이익 2조25억원 등을 기록했다.

◇미국ㆍ유럽서 질주..역시 아반떼
현대차가 지난해 글로벌 경기침체의 악조건 속에서도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높아진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지난해 전세계에서 전년 대비 12.4% 증가한 405만9438대의 자동차를 팔았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해외시장에서의 선전이 돋보였다.

지난해 미국시장 판매는 ‘2011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된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와 쏘나타의 판매호조에 힙입어 전년 대비 20% 증가한 64만6000대를 기록했다.

유럽에서도 11.3% 증가한 40만3000대를 판매했으며, 중국은 6.7% 증가한 75만7000대로 집계됐다. 브라질 등 기타는 161만1000대로 12.5% 증가했다.

내수시장에서는 주력 모델인 아반떼와 쏘나타, 그랜저가 나란히 10만대를 돌파하며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68만2228대를 판매했다. 

2001년 160만대 수준이던 현대차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2004년 처음으로 200만대를 돌파한 데 이어 2009년에는 300만대를, 2011년에는 400만대를 잇따라 넘어섰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 관계자는 “경제적인 연비 및 우수한 디자인을 동시에 갖춘 신차의 판매 호조와 확고한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2011년 글로벌 현지판매는 해외시장 판매 호조에 힘입어 처음으로 4백만대를 돌파했다”고 말했다.

◇원가경쟁력도 쑥..영업이익률 10%대
원가경쟁력도 높아졌다. 지난해 매출원가율은 플랫폼 통합 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0.8% 포인트 감소한 75.7%를 기록한 반면 영업부문 비용은 판매 대수 증가에 따른 판관비 증가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한 10조 8204억원을 기록했다.

자료:현대차
그 결과 2011년 영업이익률은 전년 8.8%에서 10.4%로, 1.6% 포인트 증가했다.

이 같은 실적호조의 배경은 품질이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 JD 파워사의 재구매율 조사에서 33개 자동차 브랜드 중 사상 처음으로 1위에 오른데 이어 아반떼가 ‘2012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주목할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또 독일에서는 아우토빌트지의 ‘2011 품질만족도 조사’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미국 시장에 이어 보수적인 고객층이 두터운 독일 자동차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독일에서 사상 처음으로 토요타를 제치고, 가장 잘 팔리는 아시아 자동차 브랜드로 등극하기도 했다.

◇미국서 질적성장..유럽서는 ‘공격경영’
현대차의 올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목표는 한국생산 194만5000대, 해외생산 234만5000대 등 총 429만대이다. 이는 전년 대비 전년 대비 5.7% 증가한 것으로, 최근 수년간 10%대의 고속성장을 감안할 때 보수적인 목표로 평가된다.

이는 올해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그 어느 해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미국 자동차 메이커들과 토요타 등이 반격에 나서고, 세계 1위를 노리는 폭스바겐도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 확대에 나서면서 현대차의 고속성장에 브레이크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한ㆍEU FTA, 한ㆍ미 FTA 등의 영향으로 수입차들이 신차를 대거 들여오며 현대차를 겨냥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올해 중국 3공장 및 브라질 공장 가동으로 인한 생산 확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정적인 품질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켜 이를 수익성 강화로 연결시키는 질적 성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역별 특성에 맞는 판매전략을 통해 올해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지속적인 성장을 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원희 현대차 재경본부장(부사장)은 “미국의 경우 이달 그랜저HG 출시에 이어 싼타페, 엘란트라 투어링, 엘란트라 2도어 등 4종을 올해 선보일 계획”이라며 “신차를 통한 판매확대 및 질적 성장을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유럽시장에서는 지난해 독일과 프랑스의 대리점을 인수해 직영 판매 체제로 전환했기 때문에 판매가 늘 것으로 본다"며 “1월 선보이는 i30와 지난해 선보인 i40 등 유럽 전략 차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판매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김홍군 기자 (kilu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틱톡, 세계 최초 시각 인식 AI 공개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 字節跳動)는 언어 지시가 아닌 시각을 이해해 동영상을 제작하는 '비디오월드'라는 이름의 AI 솔루션을 공개했다. 바이트댄스 산하 더우바오(豆包) AI 대형 모델 팀은 베이징교통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과 공동으로 제작한 비디오월드를 발표했다고 중국 제일재경신문이 11일 전했다. 오픈AI가 공개한 AI 동영상 생성 모델인 소라(Sora)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관련된 동영상을 제작한다. 이에 반해 비디오월드는 텍스트나 음성이 아닌 시각 정보만으로 동영상을 제작한다. 시각 정보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AI 솔루션인 비디오월드가 처음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종이 접기 혹은 넥타이 매기 등의 복잡하거나 세밀한 동작은 언어로 명확히 표현하기 어렵다. 비디오월드는 AI가 인간 혹은 사물의 동작을 시각으로 인식해서 동영상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학술 연구 프로젝트로 현재 새로운 기술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에 있을 뿐이고, 제품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바둑 및 로봇 제어 환경 시뮬레이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실제 세계 환경에서는 아직 미비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비디오월드는 바둑 게임에서 프로 5단 수준의 실력을 달성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 작업을 수행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바이트댄스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비디오월드를 현실 세계의 범용 지식 학습기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우바오는 바이트댄스가 2023년 8월 발표한 AI 챗봇이다. 현재 중국 내에서 딥시크에 이어 사용자 수 2위에 올라 있는 AI 대형 모델이다. 더우바오팀은 바이트댄스 내부에 2023년 만들어졌다. 더우바오팀은 최첨단 AI 대형 모델 기술 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연구 방향은 딥러닝, 강화 학습, 대규모 언어 모델(LLM), AI 음성 인식, AI 시각 인식, AI 인프라, AI 보안 등이다. 바이트댄스가 공개한 비디오월드 시연 화면 [사진=제일재경신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2-11 11:30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