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움證 '저비용 고효율' 수익구조 주목
[뉴스핌=문형민 기자] 수익성 악화와 생존 경쟁이 화두가 된 증권업계에서 키움증권이 주목받고 있다. 저비용 고효율 수익구조를 갖고 있다는 게 이유다.
앞으로 전개될 업계 재편 과정에서도 덩치만 키우기보다는 키움증권처럼 내실을 다지는 것이 키포인트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특히 백화점식 종합증권사가 아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도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올 상반기(4~9월) 당기순이익은 674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2404억원에 비해 45.6%나 급감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1.6%로 떨어졌다. 은행 예금금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이익률이다.
반면 키움증권의 순이익은 1분기 83억원에서 2분기 233억원으로 177.96% 급증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31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4% 감소했지만 1분기에 발생했던 상품운용(PI)부문의 손실 116억원을 감안하면 선방한 것.
키움증권의 주력분야인 온라인과 모바일 시장점유율(MS)이 9월말 현재 각각 28%, 31%까지 확대됐다. 저연령층 중심의 신규고객기반도 더욱 견고해지는 모습이다. 신규계좌 개설에서의 MS도 30% 정도로 추산됐다.
증권담당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키움증권의 ROE를 10.5~10.6%로 예상하고 있다. 대형사들의 ROE가 4~5% 가량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에 비해 2배 이상이다.
키움증권의 경쟁력은 저비용 고효율 수익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지점 하나 없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저가 수수료을 내세워 안정적인 브로커리지와 이자수익를 올리고 있다. 키움증권의 판관비율은 49.8%로 대형 6개사 평균 70.6%에 비해 현격히 낮다.
일본의 증권업계가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변화한 모습도 국내 증권업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버블 붕괴 직전인 1989년말 사상 최고치인 3만8900대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1990년들어 10개월 만에 약 50%나 급락했고, 계속 흘러내려 10년만에 1만선 밑으로 떨어졌다. 일평균 거래대금은 1989년 1조5000억엔에서 90년 1조엔으로 줄더니 91~98년에는 절반인 5000억엔 내외 수준을 기록했다.
1996년 10월 총선에서 승리한 자민당은 '일본판 금융 빅뱅'이라 불리는 금융시스템 개혁에 나서게 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전문 증권사를 비롯한 특화된 신생 증권사가 대거 출현했다.
이후 일본 증권업계의 지도는 크게 달라졌다. 종합자산관리를 주로하는 대형 증권사 10여개(노무라, 다이와, 닛코 등)와 온라인 증권사(SBI증권, 마쓰이증권, 미네트증권 등), 해외투자 및 IB 등 전업 증권사(이아자와증권, 신생증권, 미래증권 등), 지방은행계 증권사(후쿠오카 증권, 니가타 증권) 등으로 차별화됐다.
2000년대부터 급성장한 온라인 증권사들이 개인 브로커리지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대형사들은 장기적인 생존방법으로 수익성은 낮지만 안정적인 자산관리영업, 해외 IB 영업 등을 찾았다.
이재길 유진투자증권 법인영업본부장은 "일본의 증권사들은 장기 불황을 겪으며 '할 수 있는 일만 한다'는 생각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부분은 포기하고 특화하는 방향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한계에 직면한 중소형 증권사들이 인수합병(M&A)를 통해 대형화하거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탈바꿈해야한다고 보고있다.
업계 고위관계자는 "외국 증권사 중에는 리서치 조직이 모든 분야가 아닌 특화된 몇몇 분야만 커버하거나, 법인 영업을 몇몇 기관투자자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가 있다"며 "국내 증권업계는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걸 똑같이 하려는 데서 벗어나야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문형민 기자 (hyung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