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금융이자 1200억원, 연체금 1000억원 등 불확실성 여전
[뉴스핌=이동훈 기자] 용산역세권 사업의 유동성 위기가 내년 3월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내주 돌아오는 이자를 상환해 부도 위기를 넘기더라도 매분기마다 약 300억원 규모의 자금상환 기일이 도래하기 때문이다. 대규모 자본 증액이 아닌 단기 소규모 차입으로는 자금난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
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은 지난 7일 경영전략위원회를 열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받은 손해배상금 중 일부를 지급보증 방식으로 지원키로 했다.
이 안건은 8일 오후 코레일 이사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최근 용산역세권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우정사업본부를 상대로 사업 대상지 내 토지의 무단 사용과 관련해 승소했다. 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은 443억원 가운데 275억원은 대한토지신탁에 예치돼 있다.
코레일이 이번 안건을 통과시키면 코레일은 사업 지분(25%) 만큼인 64억원을 드림허브에 납입할 예정이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조감도> |
이렇게 되면 내주 화요일(12일) 도래하는 이자는 상환할 수 있다. 하지만 ‘부도시계’를 보름정도 늦추는 수준에 불과하다. 역세권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오는 12일에 이어 25일에 32억원, 27일에 122억원 등 다음달까지 500억원의 금융이자를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
민간 출사들은 코레일이 우선 CB 인수로 625억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를 민간투자사들이 책임지는 방식으로 유동성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500억원 규모 CB(전환사채)발행이 성공하면 코레일로부터 랜드마크빌딩 2차 계약금 4161억원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총 6661억원을 만들겠다는 것.
이 자금으로 사업이 정상화될 지 미지수다. 매분기마다 자산담보부증권(ABS)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이자 300억원가량이 도래한다. 금융이자만 1년에 약 1200억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또한 연체된 종합부동산세 1차분 56억원과 토지오염정화사업비 271억원, 용산역세권 개발 설계비 654억원 등 1000억원을 추가로 갚아야 한다. 종합부동산세는 매년 발생하는 데다 드림허브 운영비 등을 포함하면 자금 사정이 빡빡하다.
게다가 민간출자사들은 오는 2014년 3월 건축허가를 받아 해외투자 유치 및 분양예상 수익으로 사업자금을 끌어 들인다는 계획이다. 건축허가가 지연되면 자금조달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이자부담은 더욱 늘어난다. 결국 빚을 얻어 이자를 돌려 막는 데 한계가 따른 셈이다.
출자사 한 관계자는 “2500억원 CB발행이 성공하면 급한 불은 끄겠지만 대규모 증자가 없으면 유동성 위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성에 대한 확실성도 떨어져 건축허가 이후 선매각 및 분양 매출이 얼마나 일어날 지도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