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3조 이어 내년 5.5조 이상 발행 전망
[뉴스핌=이영기 기자] 저금리 지속으로 고수익 채권에 목말라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수요와 맞물려 하이브리드채권, 이른바 영구채 발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우선 은행권의 기발행 하이브리드채권을 보다 낮은 금리로 차환할 수 있는 시기가 도래했고, 신용도가 좋은 우량기업들도 자본보강을 위해 하이브리드채권 발행에 나서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채권의 전성기가 온 것이다.
21일 회사채 시장에 따르면, 은행권의 하이브리드채권이 오는 6월 이후 1조4000억원 내외, 2014년중에는 무려 5조5000억원 내외가 차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08년 리먼사태 이후 산업은행과 한국은행, 정책금융공사에서 출자한 펀드를 통해 인수한 은행권의 하이브리드채권의 발행금리가 8~9%대로 5년이 경과하는 지금 콜옵션을 통해 차환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국내은행들의 신용도를 고려하면 차환되는 하이브리드채권의 발행금리는 3%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한화투자증권 이종명 애널리스트는 "자금조달 면만 봐도 은행의 하이브리드채권은 차환의 필요성이 있다"면서 "기 발행물 대비 차환물의 금리차이는 5%를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금조달 코스트가 거의 3분의 1로 줄어들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에 1조4000억원 내외, 내년에 5조2000억 내외로 총 5조5000억원 규모가 차환될 수 있다.
지난번에는 실질적으로 사모형태를 벗어날 수 없었지만 이번에서 유동성 장세에서 기관투자자들의 수요를 고려해 공모로 발행할 가능성도 높다.
하이브리드채권이 대량 공급되면서 그간 고수익 장기물에 목말라 있는 보험사와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이 대거 수요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에 이어 최근 두산인프라코어의 하이브리드채권에 대해 회계적으로 자본 인정이 확실시 됨에 따라 일반 기업들도 자본강화를 위해 발행대열에 참가할 태세다.
대한항공과는 달리 국내 회사채 등급은 AAA이지만 글로벌 자본시장에 접근해야 하는 포스코와 SK텔레콤도 글로벌신용평가기관 무디스 등에서 신용등급 전망을 네거티브(Negative)로 해 놓은 상태라 기존 등급 Baa1과 A3이 강등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발행규모를 보면 두산인프라코어의 영구채가 논란이 되자 발행추진을 중단했던 대한항공이 우선 2000억에서 3000억원 규모의 발행을 다시 추진하고 있고, 포스코와 SK텔레콤 등 초우량 기업도 각 5000억원 내외를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기업에서 올해 공급될 물량만 1조5000억원을 넘어선다. 은행권과 합치면 올해 중에 약 3조원, 내년에 5조5000억원 이상이 발행될 것으로 추산된다. 하이브리드 채권의 전성기가 온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의 이종명 애널리스트는 "장기투자기관의 고금리에 대한 수요와 함께 은행 뿐만 아니라 우량기업들의 발행 필요성이 맞물리면서 올해는 하이브리드채권의 전성기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반기업의 경우 신용평가상 일정비율 자본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기간(보통 5년 콜옵션)이후 추가지급하는 이자 조건인 스텝업(Step-up)의 상한이 4.0%p여야 하는 등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발행금리를 자체를 높이므로서 이런 제약은 극복이 가능하다. 또 하이브리드채권의 발행 이유도 대부분 유동성 문제 보다는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이 문제 삼는 자본이슈를 피하기 위해 발행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기피할 이유가 없다.
SK증권의 윤원태 애널리스트는 "두산인프라코어와 같이 투자자들이 상환청구를 할 경우 은행들이 대신 매입하는 구조의 신용공여는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대신 발행금리가 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발행기업의 재무상태 등으로 보아 하이브리드 채권의 금리가 높아도 시장에서 소화될 수 있는 물량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회사채 시장의 속성이다.
국내 회사채 신용등급이 A인 대한항공이 바라는 대로 2000억~3000억원을 발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회사채 시장에서 논란이 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발행시장의 한 관계자는 "발행금리로 넘지 못할 제약이 있다"면서 "초우량 기업이 아닌 한 시장에서 소화되는 물량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개인투자자들이 일반기업의 하이브리드채권에 투자하지 못하는 것도 이러한 제한에 한 몫한다.
실제 금리 면에서는 은행발행물보다 더 좋은 일반기업 발행물에 대해서는 개인투자자들의 접근이 불가능 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채권 자체가 복잡하고 특히 일반기업 발행물량의 경우 더 높은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공모발행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 하이브리드채권이 도입된 이후 일반기업이 국내에서 공모로 발행한 경우가 없다.
윤원태 애널리스트는 "사모발행의 경우 개인투자자들에게 매매가 불가능하다"면서 "고수익 채권으로서 일반인의 재테크 대상으로서는 너무 멀다"라고 말했다.
사모발행은 발행당시 투자자수에 50인 미만으로 제한이 있고, 이후 매매에서도 당초 투자자수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