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이탈리아 10년물 3.5% 하회, 아일랜드 2% 선에 발행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주변국을 중심으로 한 유로존 국채 수익률 하락이 향후 경기 회복 및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QE)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는 기존의 투자자 의견을 뒤집는 주장이 제기됐다.
성장 회복을 선반영한 청신호가 아니라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암시하는 신호라는 분석이다.
(사진:AP/뉴시스) |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를 포함한 정책자들은 유로존이 일본식 디플레이션에 빠져드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지만 지극히 낮은 동시에 하락 추이를 지속하는 인플레이션은 투자자들의 경계감을 높이기에 충분하다.
특히 아일랜드의 물가가 2월 전년 대비 0.1% 하락했고, 포르투갈은 0.1% 상승해 간신히 오름세를 유지하는 등 주변국을 중심으로 국가별 수치는 더욱 우려스럽다는 지적이다.
지난 1월 독일 인플레이션이 1.3% 상승했을 뿐 프랑스의 핵심물가가 0.7% 오르는 데 그쳤고, 이탈리아의 물가지수 역시 0.5%의 저조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생산자 물가 추이를 보더라도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이 당분간 하락 압박을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프랑스 경제가 위축되는 조짐을 보이는 등 유로존의 올해 경제 성장 역시 저조할 전망이다. 아일랜드 경제가 지난해 4분기 예상과 달리 2.3% 후퇴한 것으로 나타난 데다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충격이 올해 유로존 경제를 압박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이 때문에 ECB가 미국식 양적완화(QE)를 시행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저울질하고 있다는 의견이 투자자들 사이에 번졌고, 국채 수익률의 지속적인 하락이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인 주변국인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5% 아래로 밀린 상황이며, 아일랜드가 최근 발행한 10년물 국채 금리가 3%를 밑돌며 사상 최저치를 나타냈다.
문제는 정치권의 반발과 독일이다. ECB가 실제로 미국식 QE를 시행하는 데는 상당 수의 정치적 걸림돌을 넘어야 할 전망이다.
특히 독일은 공공연히 ECB의 자산 매입 축소에 반기를 들고 있다. EU의 현행법에 저촉된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독일 볼프강 쇼이블레 재무장관은 유로존의 금리가 독일 경제에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라고 수차례 주장한 바 있다.
다우존스의 칼럼니스트인 앨런 미치는 “투자자들이 ECB의 QE 시행과 이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라면 국채 수익률이 상승했을 것”이라며 “이와 달리 수익률이 가파르게 하락한 것은 디플레이션을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 2차 QE가 10년물 수익률을 끌어올린 데서 보듯 투자자들이 QE의 경기 부양 효과를 낙관할 경우 유로존 역시 금리가 상승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