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구글 vs 페이스북, '위성전쟁' 본격화

기사입력 : 2014년09월15일 09:56

최종수정 : 2014년10월08일 10:27

구글 위성 전문가 페이스북行…인터넷 연결 확대 노림수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은 인재 영입에서 구체화되는 경우가 많다. 어떤 전문가를 영입하는 가를 보면 그 기업이 어떤 확장성을 가지려하는 지도 가늠해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이 구글에서 위성을 통한 인터넷 연결 사업에 종사했던 전문가를 영입했다. 이 소식은 페이스북이 구글이 했던 인터넷 연결 사업에 적극적인 도전장을 냈다는 것, 그리고 양사 간 이 분야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음을 가늠케 한다.

14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마이클 체틀린을 자사의 '커넥티비티 랩(Connectiviti Lab)'에 영입했다. 위성 디자인에 있어 권위가 있는 체틀린은 최근까지 그렉 와일러가 이끄는 구글의 위성 사업부에 근무했다. 구글 이전엔 위성 개발 등을 주로 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 라이트스퀘어드(LightSquared)에서 일했다.

최근 와일러와 두 명의 동료가 구글을 떠나 월드뷰 새틀라이트(WorldVu Satellites)란 스타트업을 세운데 이어 체틀린까지 떠나면서 구글의 위성 사업 핵심 멤버들이 많이 빠지게 됐다.

(출처=월스트리트저널)
WSJ는 체틀린이 페이스북에 맡을 업무가 무엇인지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링크드인(LinkedIn) 페이지를 보면 그가 최근 며칠 사이 스페이스 시스템즈 로럴, 인텔샛 등의 고위 관계자들과 관계를 맺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위성과 관련된 업무를 계속할 것임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페이스북과 구글은 더 많은 사람들을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여전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인터넷에 연결조차 되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위성 기술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토록 하려고 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블로그를 통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의 경우 위성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토록 할 수 있다"면서 "현재 위성의 가격은 비싸지만 점점 기술이 발달하면서 소형화하고 쏴 올리기는 비용도 낮아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출처=가디언)
구글도 발빠르게 위성을 통한 인터넷 연결 사업을 벌여 왔다. 그렉 와일러와 마이클 체틀린 등 위성 전문가들을 영입해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고, 이에 앞서 시작한 '프로젝트 룬' 역시 열기구 풍선을 통해 인터넷 연결을 확장하기 위해 벌인 것이다. 

무인기 제조업체인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한 것도 인터넷 연결을 확장하기 위해서였다. 태양력 무인기와 위성 등을 개발 중이다. 인터넷 망을 깔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무료 WiFi 제공 등에도 나서고 있다. 스카이박스 이미징이란 위성 서비스 업체도 인수했다.

페이스북도 '커넥티비티 랩'을 통해 인터넷 연결에 박차를 가해 왔다. 구글과 똑같이 위성과 무인기 모두 방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저궤도(low-earth-orbit) 위성과 지구 자전 방향으로 똑같이 회전해서 한 자리에 있는 것처럼 관측되는 정지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 위성을 통해 오지와 교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개발중이다.

위성의 고도가 지구에서부터 약 500~2000km인 저궤도 위성은 정지궤도 위성에 비해 전파경로의 길이가 짧아 강력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 커버할 수 있는 지역이 좀 더 넓어지나 신호는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