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내고 덜 받고' 동일...재직자 신규자 구분여부 등 차이
[뉴스핌=김지유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놓은 공무원연금 개혁안은 현행보다 '더 내고 덜 받는다'는 점에서 새누리당 및 정부의 개혁안과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새누리당안이 공무원연금을 국민연금과 동일하게 만드는 '구조개혁' 방식인데 반해 새정치연합은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을 현재처럼 이원 체계를 유지하도록 했다. 새정치연합은 보험료와 연금지급률 숫자만을 조정하는 모수개혁 방식을 선택했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5/03/25/20150325000248_0.jpg)
새정치민주연합은 공무원연금 기여율을 현행 7%에서 8.0~10.0%로 상향 조정하고, 지급률은 현행 1.90%에서 1.70~1.90%로 조정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확정된 수치는 아니지만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한 내용으로 '틀리진 않는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무엇보다 새정치연합은 기존 재직자와 신규 입직자의 차이를 두지 않고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기여율 8~10%(7%+α)는 공무원연금 '2.5%+α'와 국민연금 상당분 4.5%로 나눠서 조정토록 했다. 4.5%를 국민연금 상당분으로 분리한 것은 이만큼을 소득재분배에 사용, 하위직 공무원이 보험료 부담액 비율에 비해 보다 많은 연금을 받도록 하고 고위직은 보다 적은 연금을 받도록 한 것이다.
'1.9%-β' 지급률 역시 공무원연금 '0.9%-β'와 국민연금 상당분 '1.0%'로 분리했고, 하한은 1.70%로 정했다.
이에 반해 새누리당의 개혁안은 재직자와 신규 공무원에 차이를 두는 것이 특징이다. 재직자 기여율을 2018년까지 10%로 올리고, 지급률은 1.25%로 내린다. 신규자에게는 국민연금과 같은 수준인 4.5% 기여율과 1.0% 지급률을 적용한다.
정부의 개혁안은 새누리당안과 비슷한 골격이지만 재직자 지급률을 1.5%로 내리도록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30년 가입한 공무원을 기준으로 공무원연금 소득대체율을 비교하면 현재 57%에서 37.5%(새누리당안), 43.5~51%(새정치연합안)으로 줄어들게 된다. 소득대체율이란 생애평균소득 대비 연금의 비율을 말한다.
이에 따라 월 평균 447만원을 수급하는 공무원의 연금은 현재 255만원에서 각각 168만원(새누리당안), 194만~228만원(새정치연합안)이 된다.
퇴직수당에서도 여야의 개혁안은 차이가 있다.
새정치연합은 현재 수준(민간퇴직금 대비 39%)을 유지토록 했지만, 새누리당은 재직자의 경우 민간퇴직금과 동일한 수준으로 대폭 높이도록 제안했다. 정부안에는 재직자의 경우 현행(민간 대비 39%)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새정치연합은 퇴직 후 고정 수익이 발생할 경우 연금 지급을 100% 삭감하게 했다. 현재는 공무원이 공기업, 민간기업에 재취업할 시 소득에 따라 연금의 최대 50%를 받을 수 있다. 새누리당은 공공기관이나 선출직 근무 시 연금 전액을 정지하고, 정부는 공무원이 민간기업에 재취업해도 연금을 지급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했다.
고액 퇴직연금을 받는 퇴직자들이 부담하게 하는 기여금과 관련 새누리당은 연금의 2~4%를 연금액에 따라 차등해 연금을 깎는 방안을 내놓았다. 정부는 2016~2020년 5년간 연금을 동결하고, 그 이후는 고령화지수를 고려해 물가상승률 이하로 올리는 안을 제시했다. 새정치연합은 중하위직 공무원(현직 9급 공무원으로 입직해 30년간 근무, 6급으로 퇴직하는 약 8.4%)은 현행 수준을 유지하되, 고액 연금 수령자의 경우에는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재정절감 효과에 대해 새정치연합은 자신들의 개혁안이 새누리당 안에 비해 55조원 더 많고, 전체 절감액은 2080년까지 모두 321조원 가량이라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