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4000P시대 중국증시 투자전략, 전문가 분석

기사입력 : 2015년04월13일 16:33

최종수정 : 2015년04월13일 18:46

불마켓속 조정장이 매수기회. 저평가주 유망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증시가 7년여만에 4000선 안착에 성공한 가운데, 향후 투자포인트로 전문가들은 저가 종목과 금융주, 국유기업 개혁 관련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중국 경제전문지 투자쾌보(投資快報)는 전문가 분석을 인용, 이번 강세장은 중국 경제엔진 변속기와 구조전환 과정에서 출현한 만큼, 금융, 국유기업 개혁 등 정부 정책 지원이 집중된 분야 및 구조전환 관련 분야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할 것을 제안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2분기 증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10일 기준, A증시 일일 거래량이 9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돌파, 강세장이 아직까지 중간단계에 와 있다며, 불마켓 장세 속에서 출현하는 급등락 장세가 저가 매수의 기회가 될 것이란 점을 강조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10일 2008년 3월 이후 7년 1개월 만에 4000선을 넘어선 뒤, 이번주(13~17일) 첫 거래일인 13일 4100포인트를 돌파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세장 출현 시 저평가 종목 주가상승 뚜렷

전문가들은 과거 경험에 비춰볼 때, 증시가 4000선에 안착한 지금 저평가 종목이 시장의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2005년 6월 상하이종합지수가 998포인트에서 2007년 10월 사상최고치인 6124포인트에 도달할 당시에도 저평가주의 주가상승률이 고가주를 월등히 앞섰다는 설명이다.

해통(海通)증권 전략분석가 쉰위건(荀玉根)은 "2007년 1~4월 5위안 이하의 저가주가 50위안 이상의 고가주보다 주가가 80%나 올랐다"고 소개했다.

그는 "A증시가 개미투자자의 주도하에 두 번째 투자붐을 맞고 있다"며 "개미투자자들은 전문 투자기관에 비해 기업 펀터멘털에 대한 주목도가 낮다"면서 "이들이 저평가 종목이나 주가상승률이 낮은 종목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세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상당수의 성장주 주가가 올해들어 크게 올라, 앞으로 일정 기간동안은 저평가 종목에 시장의 관심이 쏠릴 것이란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주목할 만한 A증시 저평가 종목으로 철강업체인 남강고빈(南鋼股份 600282.SH)과 마강고빈(馬鋼股份 600808.SH), 에너지 업체 영태능원(永泰能源 600157.SH), 제지업체 신명지업(晨鳴紙業 000488.SZ), 전기설비 업체 흠용전기(鑫龍電器 002298.SZ) 등 종목을 추천했다. 

이를 반영하듯 13일 중국 증시에서 영태능원이 전일대비 10.09% 폭등한 5.89위안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10일 종가기준, 상하이와 선전 양 시장의 100위안(약 1만7600원) 이상 고가주는 40개로 늘어난 반면 10위안(약 1760원) 이하의 저평가 종목은 398개로 집계됐다.

◆저평가된 금융주, PER 9배 이하의 은행주에 주목

현재 A증시에서 평균 주가수익배율(PER)이 9배도 채 안되는 은행주 등 금융 종목도 4000포인트 돌파 시점에서 주목받는 종목으로 꼽힌다.

한 시장 전문가는 "선전거래소의 차스닥(중국판 나스닥)과 중소판(중소기업 전용 증시)의 PER이 무려 각각 96배와 90배에 달하는데 반해, 차스닥과 중소판 상장사들의 1분기 실적이 지난해 4분기보다 부진하다"며 "고평가 종목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저평가 종목인 금융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제시했다.

그 중에서도 현재 PER이 9배 안팎인 은행주가 앞으로 30% 가량의 주가 상승 여지가 있다면서, 은행의 사업다각화, 분할상장, 인터넷 금융 사업 확대 등이 은행주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눈여겨 볼 만한 은행주로는 평안은행(平安銀行 000001.SZ), 중국은행(中國銀行 601988.SH), 흥업은행(興業銀行 601166.SH) 등이 추천된다.

이밖에 성장 여지가 큰 후강퉁(홍콩-상하이 증시 교차거래), 선강퉁(선전-홍콩 증시 교차거래) 개통 임박, 주식발행등록제 시행 등 호재로 증권주도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유망한 증권 종목으로 광대증권(光大證券 601788.SH), 해통증권(海通證券 600837.SH), 국신증권(國信證券 002736.SZ), 화태증권(華泰證券 601688.SH) 등 종목을 꼽았다.

특히 중국 정부가 13일부터 A주 시장의 ‘1인 1계좌’ 제한을 전면 개방하기로 하면서, 앞으로 자연인과 기관투자자 모두 A주 계좌를 최대 20개까지 개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합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증권사나 수수료가 낮고 탄탄한 온라인 증권 정보서비스 플랫폼을 갖춘 국진증권(國金證券 600109.SH) 등 종목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2015년은 국유기업 개혁 원년, 관련주 주가상승 기대감

전문가들은 올해가 국유기업 개혁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4000선 시대에 국유기업 개혁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지난 3월 25일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국유기업 개혁이 강조됐다. 우량 기업간의 인수합병인 '강강연합(強強聯合)'을 독려하고, 기업구조를 개선, 핵심기술과 상업 모델 혁신을 추구하는 등의 개혁에 박차를 가해 국유기업의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은 올해 양회에서 국유기업 개혁이 중점 업무 중 하나로 강조되면서 조만간 국유기업 개혁 총괄방안이 출범할 것으로 예상, A증시 상장 국유기업의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주목할 만한 국유기업 개혁 테마주로는 국유기업 개혁 시범 대상인 중량그룹(中糧集團), 국투공사(國投公司), 국약그룹(國藥集團), 건재그룹(建材集團), 신흥제화그룹(新興際華集團),절능환보그룹(節能環保集團) 등 6개 국유기업 산하의 상장사인 중량돈하(中糧頓河 600737.SH), 중량지산(中糧地產 000031.SZ), 중량생화(中糧生化 000930.SZ), 국약고빈(國藥股份 600511.SH), 현대제약(現代製藥 600420.SH), 국약일치(國藥一致 000028.SZ), 중국거석(中國巨石 600176.SH) 등을 추천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