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를 때 늦게 매수하고 내릴 때 늦게 환매"
[뉴스핌=김성수 기자] 장기간 신흥시장 펀드에 투자한 사람들은 기본적인 투자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드이 펀드에 너무 늦게 진입하고 너무 늦게 빠져나와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는 것이다.
23일 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모닝스타(Morningstar)의 자료를 인용, 일부 신흥국 펀드의 경우 수익률이 크게 하락했는데도 자금유입이 계속되는 사례가 있다면서 2008년에 출시됐던 '라자드 디벨로핑 마켓 주식펀드'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소개했다.
이 펀드는 지난 2010년 2월까지 12개월간 무려 143%의 경이로운 수익률을 기록, 글로벌 금융위기 후에도 가장 성과가 좋은 펀드로 꼽혔다. 그러나 2011년 9월이 돼서는 12개월간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졌고, 2013년 2월까지 한 해 동안 3억5690만달러 자금이 여전히 순유입됐다.
펀드 성과가 크게 나빠졌는데도 향후 반등을 노린 투자자들이 계속 몰려든 것이다. 펀드에서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기 시작한 것은 다시 한 해가 지난 2014년 2월이 돼서였다.
라자드 자산운용 측은 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하락하고 있는 자산은 이변이 없는 한 하락세를 지속할 것이기 때문에, 반등을 기대하고 매수하지 않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로버트 시라이트 매디슨애비뉴증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경험 상 시장은 한 번 떨어지면 더 떨어지고, 오를 때는 더 오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글로벌 펀드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미국의 신흥시장 주식펀드는 12개월 동안 자금유입액이 44억달러로 줄어들었다. 지난 8월까지만 해도 12개월간 유입액이 145억달러였으나 3분의 1 이하로 쪼그라든 것이다. 지난 2013년 11월만 해도 12개월간 신흥시장 유입액이 402억달러였다.
![]() |
신흥시장 주식펀드 자금유입과 투자수익률 비교 <출처=모닝스타, WSJ 재인용> |
다만 신흥시장이 글로벌 경제에서 이전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이 지역의 장기 성장전망을 긍정적으로 이끌고 있다. 금융정보회사 CEIC에 따르면 신흥국은 글로벌 경제에서 약 40%를 차지해, 10년 전의 24%보다 비중이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자산관리업체 반에크글로벌의 데이비드 셈플 펀드매니저는 "신흥시장은 선진국보다 여전히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자본시장 성장 속도도 선진국의 몇 배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흥시장펀드 외에 국내 주식형펀드의 경우도 높은 수익률 성과를 기록하는 경우 자금을 빠르게 흡수하다가 성과가 부진해질 때에도 자금유입이 상당기간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국내 K펀드 수익률과 자금유입 비교 <출처=펀드수퍼마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