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대마불사' 구제금융 기대했다가 큰코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도이체방크를 필두로 주요 은행이 발행한 채권 하락에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는 가운데 바겐헌팅 기회를 엿보는 움직임이 투자자들 사이에 번지고 있다.
특히 유사시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되는 이른바 코코본드에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이 몰리는 상황이다.
올들어 유럽의 금융권이 발행한 코코본드는 7.3%에 달하는 하락을 기록했다. 이 밖에 도이체방크와 유니크레디트 등 주요 은행의 채권이 액면가 1유로 당 75센트 내외까지 하락, 극심한 충격을 받은 상태다.
맨해튼의 금융권 <출처=블룸버그통신> |
빌 스카펠 코언 앤 스티어스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 하더라도 은행채의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저평가됐다”며 매입을 추천했다.
앤서니 스모하 GAM 채권 펀드 어드바이저는 “유럽 코코본드의 저가 매입에 나서야 할 때”라며 “1년 후에는 쏠쏠한 차익을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투자자들 사이에 이 같은 주장이 고개를 든 것은 금융위기 당시 논란이 됐던 소위 ‘대마불사(too big to fail)’ 논리가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유가를 포함한 상품 가격이 폭락한 데 따라 은행권의 부실 여신이 급증, 시스템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에도 코코본드 베팅에 나서는 것은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구제금융을 통해 위기에서 구해낼 것이라는 기대가 깔린 움직임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이른바 ‘베일-아웃(bail out, 구제금융)’에 기댈 수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베일-인(bail in)’ 리스크를 감안해야 한다는 것.
즉, 은행권에 부실이 발생할 경우 채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이 채무 원리금을 탕감하는 형태로 손실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미국과 유럽의 감독 당국은 특정 대형 은행의 부실이 금융시스템 전반의 위기로 치닫는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다각도로 모색했고, 구체적인 얼개를 마련했다.
채권 투자자의 손실 부담이 한 가지 대책이며, 경우에 따라 채권의 주식 전환도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은행채 가격이 급락한 것은 상품 가격 하락 이외에 정책 변경 역시 빌미를 제공했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얘기다.
샘 테오도르 스코프 레이팅스 이사는 “투자자들이 정책 변화에 따라 은행 채권 매입에 따른 리스크가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관련 채권 가격의 낙폭이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헨리크 JP모간 신용 리서치 헤드는 “최근 코코본드 매입에 나서는 투자자들은 과거 투자 경험이 없이 단순히 가격 낙폭만을 근거로 뛰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하지만 단순한 가격 논리로 급락한 은행채를 매입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