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대상 황산 테러·올림픽 체조 경기장 폭발물 설치 협박
서울청 사이버수사대 병합 수사...경찰청, 재발방지 대책 논의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최근 일본인 변호사를 사칭한 폭발 협박글 47건이 확인됐다. 경찰은 최근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거짓신고와 협박글이 잇달아 접수되는데 대해 재발방지 대책 마련과 함께 엄정 대응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1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변호사를 사칭한 협박글에 대해 "현재까지 47건이 확인됐다"며 "8월 들어 접수된 폭발물 신고는 총 7건으로 피의자는 모두 검거했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 변호사 가라사와 다카히로라는 명의로 협박 메일을 보낸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일에는 학생들에게 황산 테러를 하겠다는 내용의 팩스가 접수됐고, 지난 10일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KSPO돔)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올림픽공원 내 한국체육산업개발 측에 전달되기도 했다.
피의자 특정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건 자체가 해외에서 발생하다보니 필요한 자료를 받고 신속히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사안 중요성을 감안해 일본과 인터폴 통해서 관련 자료를 최대한 받아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설명했다.
일본 변호사 사칭 사건은 현재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서 병합해 집중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경찰은 경찰청 범죄예방대응국장 중심으로 관련 기능은 허위폭발물 협박 등 거짓신고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차장)은 "최근 폭발물 거짓신고 등에 대해 엄정 대응할 계획"이라며 "8월 발생한 폭발물 신고 중 일본 변호사 사칭 사건을 제외하고 모두 피의자를 검거했다"고 밝혔다.
![]() |
경찰청 [사진=뉴스핌DB] |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받고 있는 이춘석 무소속 의원에 대해서는 지난 14일 소환 조사를 진행해 15일 오전까지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현재 압수물 분석과 관련 자료 분석을 마친 뒤 필요시 추가 출석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보좌관 휴대전화로 주식을 거래하는 사진이 포착되면서 수사 대상이 됐다. 경찰은 이 의원과 보좌관 차모 씨를 자본시장법 위반과 금융실명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다.
경찰은 지난 7일 안용식 금융범죄수사대장을 팀장으로 하고 변호사, 회계사 등 법률·자금 추적 전문 인력 등을 포함한 총 25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편성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불법유통하는 사례와 관련해 지난 13일 기준으로 총 9건을 접수해 6건을 입건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3건은 범죄 혐의가 명확하지 않아 입건 전 조사(내사)가 진행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시작된 지난달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불법유통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허위 가맹점 등에서 현금으로 소비쿠폰을 할인 거래한 후 실제 거래 없이 지자체 또는 판매대행점에 원가로 환전하는 행위를 단속 대상으로 삼고 있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갑질 피해를 당한 보좌관에게 "일을 못해서 잘린 것"이라고 말해 고발된 유시민 작가에 대한 수사도 진행되고 있다. 경찰은 지난 13일 고발장을 접수했고, 14일 방배경찰서에 사건을 배당했다.
유 작가는 1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에서 '갑질 논란'으로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서 자진 사퇴한 강 의원에 대해 '말이 안되는 것'이라면서 보좌진이 일을 잘못해서 잘렸는데 갑질한 것처럼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강 의원의 보좌관 갑질 의혹 등에 대한 고발 사건은 현재 서울 강서경찰서에 8건이 접수돼 고발인 조사와 관련자료 확인 등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서는 고발인 조사 후 행정관청을 상대로 필요한 자료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경찰은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의 배우자가 코로나19 관련 수혜주를 보유했다는 의혹에 대해 현재 용산경찰서에 고발장이 2건 접수됐으며 고발인 조사와 관련자료 확인 등 필요한 수사가 이어지고 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