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IT양강 화웨이 레노버, PC시장서 2라운드

기사입력 : 2016년02월23일 14:18

최종수정 : 2016년02월23일 15:15

스마트폰 제패한 화웨이 PC 출사표, 레노버에 도전장

[뉴스핌=이지연 기자] “모두 화웨이를 잘 알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분야에 섣불리 뛰어들지 않는다. 하지만 한 번 발을 디디면 반드시 최고가 된다.”

위청둥(余承東) 화웨이 소비자 부문 CEO는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6)에서 화웨이의 첫 PC 제품 메이트북(MateBook)을 선보이며 자신감 있는 어조로 이렇게 말했다. 

2년 전부터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마침내 PC 업계에 출사표를 던진 화웨이는 “조만간 PC 분야 1인자가 될 것”이라며 세계 점유율 21.6%의 글로벌 1위 레노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화웨이는 지난해 휴대폰 출하량이 1억대를 돌파하며 세계 3위로 올라섰다. 휴대폰 사업에서의 대성공을 등에 업고 PC 업계 ‘큰 형님’ 레노버와의 전면충돌을 선포한 셈.

작년부터 시작된 세계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 둔화세가 향후 몇 년 뒤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화웨이가 영업수익 증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PC 사업에 뛰어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화웨이의 PC 사업 진출에 대해 양위안칭(楊元慶) 레노버 회장은 앞서 2월초에 열렸던 재무보고 소통회에서 “레노버는 누가 이 바닥에 들어오고 나가는 것에 딱히 관심이 없다”며 “오히려 이 업계에 들어와주면 PC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으니 우리로서는 환영할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레노버가 ‘쿨’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것은 지난 11분기 연속 세계 PC 판매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PC 5대 가운데 1대는 레노버 제품으로, 중국 시장의 경우 지난해 처음으로 레노버의 시장 점유율이 40%를 돌파했다.

PC 사업 분야에서 화웨이가 레노버를 넘어설 수 있을까? 스마트폰의 경우 레노버가 먼저 승승장구하며 잘 나갔지만 결국 화웨이에 추월 당한 선례가 있는 만큼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시장의 평가다.

또한 화웨이는 막강한 연구개발 능력과 특유의 뚝심으로 통신장비 분야에서 에릭슨(Ericsson), 기업 네트워크 분야에서 시스코(CISCO)에 도전했던 전적이 있어 PC 분야 진출도 주목할 만하다.

쩡타오(曾韜) 전신(電信) 분야 전문가는 “화웨이가 과거 업계 공룡들에 도전한 경험으로 미루어봤을 때 향후 운영체제와 CPU 등 핵심 영역에 집중,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및 자회사 하이실리콘(Hisilicon)의 칩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화웨이 메이트북 <이미지=바이두(百度)>

하지만 2012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PC 시장 침체는 화웨이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시장분석기관 IDC에 따르면, PC 판매 위축으로 인해 레노버, HP, DELL, 애플 4대 기업을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Tom Mainelli IDC 분석가는 현재 5~10개 PC 제조사 가운데 2곳이 시장에서 퇴출당할 것으로 내다봤다. 퇴출 후보로는 삼성, Acer, ASUS, 도시바, 후지쯔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한 업계 전문가는 “PC가 거의 죽은 산업이라고들 하지만 화웨이는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업계 상황과 자체 기술력에 대한 화웨이의 강력한 믿음에 주목했다.  

양위안칭 레노버 회장 또한 PC 시장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점점 더 많은 기업이Windows 10으로 전환하면서 앞으로 기업들의 PC 교체 러시가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또한 투인원 노트북(2-in-1 노트북+태블릿), 듀얼 운영체제 노트북 등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 등장하면서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았다며 올해 이러한 제품들의 성장을 내다봤다.

그는 “향후 중국 시장의 분위기가 반전될 것”이라며 “휴대폰만으로는 기능과 스크린 면에서 PC를 따라갈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화웨이의 첫 PC 제품 메이트북은 노트북과 태블릿이 결합된 무게 640g의 투인원 노트북으로, 판매가는 799유로(약 108만원)부터이며, 최고 사양의 경우 1799(약 244만원)유로까지 달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