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News

속보

더보기

[2016중국포럼] 류사오정 “모바일방송 2020년 895억 위안 규모, 韓 미남·미녀 와라"

기사입력 : 2016년09월22일 11:29

최종수정 : 2016년09월29일 09:17

인구 6억명이 보는 인터넷·모바일방송 급성장

[뉴스핌=최주은 기자] “중국에서 인터넷 방송은 새로운 비즈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 국민 인터넷 방송시대를 열어가고 있으며 인터넷과 모바일을 포함한 인터넷 방송시장은 오는 895억 위안의 시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류사오정 중국 치후360 최고전략책임자(CSO)는 22일 ‘신성장 엔진 찾는 중국 한국 기회와 시사점’ 주제로 열린 뉴스핌 포럼에서 중국 인터넷 경제는 ‘왕훙’과 ‘인터넷 방송’이 맡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류사오정 최고전략책임자는 '중국인터넷 뉴 비즈 트렌드, 인터넷 생방송을 중심으로' 주제 발표에서  “중국에서 인터넷 방송은 PC라이브 방송을 비롯해 PC와 모바일 복합, SNS라이브 방송 3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PC를 통한 인터넷 라이브 방송시장과 모이일 라이브 방송 시장이 오는 2020년까지 각각 600억 위안, 295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샤오정 중국 ‘치후(奇虎)360’ 최고전략책임자 CSO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빌딩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6 중국포럼 - 신 성장 엔진 찾는 중국, 한국 기회와 시사점’에서 중국 인터넷 뉴 비즈 트렌드 '왕훙(網紅)', 그리고 인터넷 생방송의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높은 모바일 보급률과 용이한 콘텐츠 접근성으로 이 같은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터넷 사용자 수는 6억1000만명으로 그중 스마트폰 사용자가 90%에 달한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은 다양한 영상 효과를 지원해 풍부한 콘텐츠를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PC플랫폼과 달리 언제 어디서나 터치 한번으로 접속할 수 있다. 진행자와 접속자간 소통이 쉬울 뿐만 아니라 타인과 콘텐츠 공유가 쉬워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는 것.

류사오정 최고전략책임자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은 언제 어디서나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어 편리하다”며 “여기에 진행자와 참여자간 상호간 소통이 쉬워 ‘말풍선’ 등을 통해 수익창출도 쉬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모바일 인터넷 라이브방송의 수익 창출은 대부분 ‘관객’을 통해서다. 관객 다음으로 UGC(사용자 콘텐츠 생산), 왕흥(일반인 방송진행자, BJ), 연예인 순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나아가 새로운 영상 발표, TV드라마 홍보 등도 모바일 인터넷 방송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이 발전함에 따라 플랫폼 간 협력은 더 강화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 이용자는 남성이 75%로 압도적이다. 연령별로는 19세 이상 30세 미만이 절반 이상인 68.7%를 차지한다.

인기콘텐츠로 ‘스타’ ‘일반인(여자·남자)’ ‘이벤트’ ‘예능’ ‘순간포착’ 등이 꼽힌다. 가장 선호되는 콘텐츠는 단연 ‘스타’다. 일반인 미남, 미녀가 출연하는 프로그램이나 예능프로도 인기다. 이외 희극물, 순간포착 등 이미지 전송도 유행하고 있다.

류사오정 최고전략책임자는 “한국은 SNS가 발달했고 미남, 미녀가 많은 나라로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콘텐츠가 많은 곳”이라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시대가 이제 막 도래하고 있어 중국 모바일 라이브 방송이 한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최주은 기자 (jun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