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선강퉁시대] 유일한 홍콩 중소형 선강퉁 IT주 ‘톈거후둥’

기사입력 : 2016년11월28일 17:48

최종수정 : 2016년11월28일 18:51

홍콩 온라인 생방송 테마주…올해 주가만 87% 올라

[뉴스핌=백진규 기자] 12월 5일 선강퉁 개통을 앞두고 홍콩 중소형 선강퉁주 가운데 유일한 온라인 생방송 기업인 톈거후둥(天鴿互動, 01980.HK)에 중국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온라인 생방송, 게임 전문 회사로 3억명 회원을 거느리고 있고 해외에서도 유명세를 날리고 있기 때문이다. 톈거후둥 주가는 올 들어 87% 올랐으며 향후 가장 막강한 선강퉁 기대주로 주목을 한몸에 받고 있다.

지난 25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와 홍콩증감회는 12월 5일부터 선강퉁(深港通 선전-홍콩 주식 교차 매매)을 정식 개통한다고 발표했다. 홍콩 투자자들은 선전에 상장된 880개 종목에, 중국 투자자들은 홍콩에 상장된 417개 종목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톈거후둥은 선강퉁에 포함된 홍콩 중소형 종목 95개 중에서 유일한 온라인 생방송 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중국인 투자자들이 관심 갖던 란강후둥(藍港互動), 롄중(聯眾), 창제퉁(暢捷通)등 홍콩의 ‘인터넷+’ 업체들이 이번 선강퉁 명단에서 빠져있는 만큼 반사이익을 거둘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특히 톈거후둥은 지난해부터 중국에서 가장 열기가 뜨거웠던 ‘왕훙(網紅 인터넷 스타)’ 테마주인데다 올해 주가만 90%가까이 오른 만큼 오는 2017년에도 그 인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2016년 톈거후둥 주가 추이 <자료=즁국금융계(金融界)>

푸정쥔(傅政軍) 톈거후둥 CEO는 “톈거후둥의 회원은 3억1200만명에 달하며, 선강퉁 개막과 함께 우리 주식을 매입하는 회원들도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선강퉁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우리는 (주가보다) 기업 실적을 보여주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 화려한 실적, 왕훙 테마주, 해외투자 3박자 갖춰

지난 24일 발표한 톈거후둥의 실적도 화려하다. 3분기 영업이익은 2억3600억위안으로 전년비 49.0%, 순이익은 8253만위안으로 78.3% 증가했다. 3억명 회원 중에서 활성 이용자는 2066만명이며, 모바일 이용자 비중이 지난해 20.9%에서 올해 54.6%까지 늘어난 것도 고무적이다. 온라인 1인 미디어 수만 9만명에 이른다.

올 상반기에는 수이징즈보(水晶直播) 먀오보즈보(喵播直播) 환러즈보(歡樂直播) 등 3개의 라이브 스트리밍 APP을 출시해 모바일에 집중하면서 회원 수를 늘리는데 성공했다.

푸정쥔 CEO는 “BAT라는 거대 공룡이 게임 왕훙 핀테크 업계를 집어삼키는 상황에서, 우리는 외곽(3~4선 도시) 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밝혔다. 비록 왕훙경제가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부터 시작됐지만 임대료 인건비 부대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오히려 3~4선 도시에서 더 경쟁력이 있다는 설명이다.

홍콩증시 입성이 동종 경쟁업체들에 비해 한발 앞섰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현재 중국에는 약 200여개의 생방송 플랫폼이 있으며, 대다수 중견 플랫폼 기업들은 상장준비 또는 현상유지를 위해 외부 투자 유치에 고심하고 있다. 반면 톈거후둥은 지난 2014년 상장을 완료해 안정적으로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전망도 낙관적이다. 톈거후둥 산하 먀오보즈보는 올해 성공적으로 태국에 진출했고 앞으로 동남아시아 진출을 준비 중이다. 톈거후둥 측은 개인방송을 보면서 별풍선과 같은 유료아이템을 쏘는 데 대한 거부감이 없기 때문에 성공을 자신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모바일 게임, 핀테크 등 사업 영역을 다각화 할 계획이다.  

톈거후둥을 가치를 미리 알아본 투자기관들도 많다. 신랑(新浪) 등 중국기업 뿐 아니라 미국 IDG, 메릴린치 등도 톈거후둥에 투자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