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지지율 결집으로 자신감 찾아
보수적통 경쟁 위한 '집토끼' 잡기 전력 투구
[뉴스핌=조세훈 기자] 바른정당 분당 이후 혁신과 쇄신을 외친 새누리당이 사실상 '박근혜당'으로 회귀하고 있다. 당명으로 '보수'를 넣는 방안이 유력한 가운데 당내 대선주자와 현역 의원들이 태극기 집회에 참석하며 극우보수세력을 결집하는 모양새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전·현직 의원과 대선주자들이 지난 주말 극우단체가 주최한 '탄핵 반대 태극기 집회'에 대거 참석했다. 이 자리엔 대권주자인 김문수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비대위) 위원, 이인제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 이외에도 '친박 8적'으로 분류된 윤상현·조원진·김진태 의원 등이 자리했다. 최근 보수여론의 결집에 힘입어 폐족으로까지 몰리고 있는 친박의 행보가 다시금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 |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 회원들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열고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 배경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지지율 급상승이 자리 잡고 있다. 새누리당은 반기문 유엔(UN) 전 사무총장의 대선불출마 선언 이후 황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15% 안팎으로 치솟자 자신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황 대행의 지지율 상승에 대해 "새누리당이 후보를 배출해도 된다는 국민의 허락"이라고 해석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김문수 비대위원은 친박 행렬에 합류하는 모습이다. 김 비대위원은 6일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늦었지만 태극기 집회에 참여했다"며 "나라와 박 대통령을 걱정하는 많은 분들을 보며 감동을 받았다"고 소회를 밝혔다. 지난달 10일 "반드시 친박을 인적청산 할 것"이라는 입장에서 180도 선회한 것이다.
당내 대선주자까지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한 것은 보수층을 노골적으로 결집시키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실제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당 지지율이 10% 초반에 그치고 대선후보 지지율 합이 1% 안팎에 그치고 있다.
황 권한대행의 지지율을 당내로 흡수하기 위해 당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옮기고 박 대통령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다. 최근에는 당명에 아예 '보수'라는 단어를 넣고 당 로고도 태극기를 연상케 하는 식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 |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과 정우택 원내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런 행보는 다른 대안이 없어 나온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 실장은 "인명진 비대위가 방향성을 못 잡다보니 강경보수 친박이 활로를 찾은 것"이라며 "어차피 이번 대선은 어렵고 다음을 바라보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윤 실장은 새누리당의 진로에 대해선 "이런 방식을 선택한다고 당의 미래가 있는게 아니다"며 "황 권한대행의 출마 여부와 상관없이 당은 점차 어려워질 것"이라고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