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소액대출에서 '디지털 포용적 금융'으로 확장
"문 정부, 포용적 금융에 방점…적극적 정책지원"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11일 오후 3시09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현 기자] "빈곤 퇴치, 고용 창출, 양성 평등 및 여성 역량 강화의 촉진제로서 포용적 금융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우리는 포용적 금융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노력을 지지한다."
얼마 전 폐막한 독일 함부르크 G20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공동선언문 중 일부입니다. 이 선언문을 계기로 '포용적 금융(Financial Inclusion)'이 다시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해외뿐 아니라 국내 금융사와 금융당국도 포용적 금융을 강조하며 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포용적 금융이 뭐길래 이렇게 '핫'한 걸까요?
방글라데시에서 1983년에 설립된 그라민은행을 예로 들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은행은 기존 시중은행이나 금융회사를 이용할 수 없었던 수제 바구니 상인 등 빈민들에게 소액을 담보 없이 대출을 해줬습니다.
대출금은 100% 예금으로 충당했고, 대출 회수율은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99%에 육박했습니다. 이 은행은 1993년부터 흑자로 전환했으며, 대출받은 600만 명의 빈민 가운데 58%가 빈곤에서 벗어났습니다. 설립자인 유누스 총재와 은행은 2006년에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그라민은행은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소상인들에게 소액을 대출해주는 마이크로크레디트의 효시가 됐습니다. 동시에 '포용적 금융'의 시작이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 |
2017년 현재, 포용적 금융은 그라민은행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빈민뿐 아니라 중소기업이나 사회적기업에 대한 금융서비스 강화,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소외될 수 있는 고령층에 대한 금융교육 강화 등을 포함하는 거죠.
한 마디로 포용적 금융은 전 국민이 적정한 요금으로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 발전과 융합돼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개념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세계은행(WB)은 "디지털 기술 진전에 따른 혜택이 새로운 기술 활용이 유리한 계층에 편중됐다"면서 "각국 정부가 디지털 편익을 사회 각계각층이 나눌 수 있는 관리체계를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G20 정상회의에서도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8대 원칙을 공표하고 각국이 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도록 권고한 바 있죠.
디지털 금융이 발달한 중국에서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사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의 자회사인 ANT Financial이 주인공입니다. 이 회사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신용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일반은행에서 소외된 온라인 영세자영업자에게 소액대출을 제공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포용적 금융이라고 내놓을 만한 사례가 많지 않습니다. 한국장학재단이 대출 신청과 심사, 지급 및 사후관리를 모두 홈페이지나 모바일을 통해 진행하는 것 정도입니다.
실망하기는 이릅니다. 주요 금융사 수장(CEO)들이 포용적 금융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죠.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은 "노인들이 비밀번호를 자주 잊어버려 ATM을 사용하기 어렵다"며 바이오 인증을 도입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일종의 포용적 금융이 될 수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 |
문재인 정부도 서민금융 및 포용적 금융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새 정부는 포용적 금융에 아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적극적인 정책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라면서 "포용적 금융 강화를 위한 규제 완화 등도 추진해 포용적 금융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군희 서강대 교수(경영학과)는 "금융회사는 서민금융환경의 개선을 통한 포용적 금융을 새로운 가치로 인식해 접근해야 한다"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금융소비자 보호체계와 금융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누구 하나 소외되지 않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용적 금융. 우리나라에서도 곧 활성화 되길 기대합니다.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