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고노 외무상과 오찬 회동
[뉴스핌=김은빈 기자] 한일 외교장관이 캐나다 밴쿠버에서 회담을 가졌지만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18일 보도했다.
![]() |
강경화 외교부 장관(앞줄 오른쪽),렉스 틸러슨 미국 국장관(오른쪽 두번째),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캐나다 외무장관(왼쪽 두번째),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왼쪽)등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한반도 안보와 안정에 관한 외교장관회의'를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외교장관회의에 참석 중인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郎) 외무상은 16일(현지시각) 오전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위안부 합의와 관련된 입장 차이를 재확인했다.
신문에 따르면 고노 외무상은 "일본 정부는 위안부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밝힌 새 방침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드러냈다. 강 장관 역시 "재합의는 요구하지 않지만,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의 상처 회복을 위해 노력해달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고노 외무상은 이날 한국 정부에게 새 방침을 철회해달라는 요구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양측은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의견이 일치해 정면 충돌은 피했다.
신문은 "당분간 한일관계 문제는 내버려두는 게 낫다"는 외무성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며 "(일본은) 북한의 위협이 있는 상황에서 한일관계를 위안부 문제로 어렵게 만들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이 한·미·일 3개국 연대가 흔들리는 걸 원치 않는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외무장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문제는 한일 양국에 있어 감정적으로 중요한 문제"라면서도 "한·미·일 3국의 안전보장상 대책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