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확대냐 학종 유지냐 놓고 평행선 계속돼
"협력의 시대" 수능 절대평가 도입 의견도 나와
대입특위, 4번 열린마당 바탕 공론화 범위 설정
[서울=뉴스핌] 황유미 기자= "아이 중학교 2학년 생활기록부에 국어밖에 (내용이)없었다. 교사는 '아이가 한 번도 학생부를 써달라 한 적이 없다'더라. 아이도 울고 나도 울었다. 교사의 여력에 한계가 있어 학생부 기록은 공부 잘하는 아이들 위주가 될 가능성이 많다. 그래서 대입에서 수능이 필요하고, 수능이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수정하는 방식으로 가야한다" <대전의 중3 학부모 A씨>
3일 국가교육위원회 대입특위의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국민제안 열린마당'에서 한 중학교 교사가 자유발언하고 있다. 2018.05.03 hume@newspim.com |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 국민 공청회 '국민제안 열린마당'이 충청권을 대상으로 3일 열렸다. 당사자인 중학교 3학년과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 등 입시 주인공들이 다양한 의견을 내놓은 가운데, '정시확대'에 대한 의견들이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이날 오후 4시30분 대전 충남대에서 열린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대입특위)의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국민제안 열린마당'은 350여명의 시민이 참석할 만큼 열기가 대단했다.
김진경 대입특위 위원장은 '대입제도에 숨어있는 우리 아이들의 현재·미래 지도' 발제에서 "대입제도 개편을 둘러싸고 현재와 미래가 대립해 이를 풀 해법을 찾아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학생부 전형을 주장할 땐 학부모·시민사회의 참여를 허용하고 수능 중심 전형에서는 강력한 개혁을 허용해야 협상과 합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자유발언에서 학부모들은 앞다퉈 정시 확대를 주장했다. 반면 교사들은 학종 및 수시를 유지하거나 확대하자고 맞섰다.
중학생 학부모 B씨는 "현장 선생님들 얘기를 들어보면 열의 있는 교사가 아니면 한 교실에서 5명 이상은 (학생부)관리가 불가능하다"며 "아직까지 수능확대가 학종보다 더 공정하다"고 지적했다.
고등학생 학부모 C씨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할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키우라지만, 어차피 교사가 준 숙제를 똑같이 해 가져가는 방식"이라며 "봉사활동 및 동아리 역시 점수를 위한 것들인데, 이런 활동을 위해 학생들을 3년간 풀가동시킨다"고 비판했다.
반면 교사들은 공교육 정상화와 미래 세대 교육을 위해 학종 확대를 외쳤다. 청주 모 중학교 D교사는 "지난해부터 객관식 대신 서술·논술형으로 학생을 평가하고 있다. 학생부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수업에서 충분히 배운 내용을 평가하도록 한 흐름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한 고등학교 교사는 "과거와 달리 현재 수능은 EBS 문제 중심으로 바뀌면서 반복학습하면 성적이 잘 나온다"며 "결국 과외나 유명 입시학원을 통해 좋은 점수를 받기 때문에 지방이나 가난한 학생들은 피해를 본다. 현행처럼 수시 7대 수능 3의 비율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2022학년도 대입을 치를 대전 대신중 3학년 박모군은 "프로그래밍 동아리를 운영하고 지난달 세미나도 다녀왔다"며 "이런 뜻깊은 활동을 배제한 채 성적을 판단 기준을 삼는 것은 옳지 않다. 그래서 수능확대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쟁점인 수능 '절대평가' 도입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학벌주의를 타파하고 학생 중심, 실력 중심 평가와 교육이 이뤄져야한다는 목소리다. 충북진학지도협의회 대표 백상철 씨는 "세계 교육은 절대평가와 협력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며 "절대평가해야 학생들 팀플레이가 가능하며 서로 경쟁하지 않고 팀워크가 좋아진다"고 말했다.
한편 대입특위는 3시간 동안 진행된 이날 열린마당을 마치면서 대입개편에 대한 참석자 제안서(서면)를 받았다. 대입특위는 이날을 포함, 10일 광주(호남·제주권)와 14일 부산(영남권), 17일 서울(수도권)에서 진행되는 열린마당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해 공론화 범위 설정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hum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