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올해 들어 중국 증시가 20% 넘게 떨어진 가운데, 증시를 떠받치기 위한 중국 당국의 개입 시도는 오히려 독이 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30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 국제금융 담당 수석기자 헤니 샌더는 당국의 시장 개입이 중국만의 이슈라고 할 수는 없지만, 중국이 활용하는 개입 정책들은 궁극적으로 투자자들이나 중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상하이 종합주가지수 1년 추이 [사진=블룸버그통신] |
샌더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과 더뎌진 국내 경제 성장 흐름 등이 중국 증시를 짓누르는 대표적인 악재이지만, 중국 당국도 증시 급락의 책임을 피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달 중순부터 중국 금융시장 규제당국인 중국보안규제위원회(CSRC)는 기업들의 주식 바이백을 장려하는 규정을 도입했으며, 중국 내 11개 주요 증권사가 210억위안을 출자해 주식시장 유동성 경색을 겪고 있는 상장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관리프로그램을 운영토록 했다.
중국 CSI300지수가 8% 가까이 떨어졌던 지난 6월에도 중국 당국은 중국주식예탁증서(CDR) 도입을 지원하고자 6개 대형 자산운용사들에게 관련 자금을 조성토록 했다.
샌더는 CDR 도입 목적이 해외 증시에 상장된 자국 IT(정보기술) 기업 주식을 본토 증시에서도 거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만, 국내 경기 둔화 상황과 유동성 부족 상황으로 운용사들이 결국 보유 중국 증시를 매도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했다면서 증시 하락을 오히려 부채질했음을 시사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은 아니지만 지난해 시작된 정부 주도의 부채 축소 캠페인도 기업들의 주식 담보대출 문제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무라 중국 이코노미스트 팅 루도 “부채 축소 캠페인이 중국 민간 부문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으며, 주식담보대출로 인한 지속적인 트라우마는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격이 될 것”이라면서, 지난 3분기 말 기준으로 민간 기업이 대출 담보로 잡힌 주식의 80% 이상을 차지했다고 강조했다.
샌더는 증시를 떠받치려는 중국 당국의 노력은 결국 실패로 판명 날 것이며, 막대한 현금 투입으로 증시를 사상 최고로 끌어 올렸다가 단숨에 급락장을 맞았던 2015년 위기 교훈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할 때라고 경고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