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종합] "인생의 진리를 담는다"…네 남녀의 얽힌 관계로 보는 연극 '진실거짓'

기사입력 : 2018년11월15일 09:41

최종수정 : 2018년11월15일 09:41

'진실' 편, '거짓' 편이 연작 시리즈로 공연되는 형태
배종옥 김정난 이형철 김수현 이도엽 양소민 등 출연
2019년 1월27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2관 공연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진실은 어디서나 옳은 것인가. 선의의 거짓말이 필요한 것인가. 두 부부의 진실과 거짓이 얽힌 관계를 통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 찾아왔다.

연극 '진실거짓' 포스터 [사진=연극열전]

연극 '진실X거짓'(이하 '진실거짓') 연출 안경모는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 아트원시어터 2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단순히 진실, 거짓에 대한 이야기를 넘어 인간에 대한 이야기, 사랑과 우정에 대한 이야기이며 궁극적으로는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고 작품을 소개했다.

연극 '진실거짓'은 프랑스 작가 플로리앙 젤레르(Florian Zeller)의 연작 형태 작품으로, 2011년 '진실'이 발표되고 4년 후 '거짓'을 발표했다. 두 부부이자 연인, 친구인 복잡한 관계의 네 인물이 등장해 서로 다른 사건과 입장에서 각각 사랑과 우정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서로의 신뢰를 시험하고 기만하고 배신하는 과정을 유럽 특유의 블랙코미디로 펼쳐낸다.

안경모 연출은 "처음 두 작품을 봤을 때 단숨에 읽혔다. 숨 쉴 틈 없이 전형적인 코미디 극작법을 활용하면서도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 궁금케하는 작품이었다"며 "희곡을 처음 볼 때 한국 작품처럼 느껴졌다. 번역, 각색 작업을 통해 한국 느낌을 많이 넣으려 한다기보다 인물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인간이 가진 아이러니한 부조리함을 강조하면서 어떻게 블랙코미디로 표현할까 고민했다. 사랑, 우정, 거짓, 진실 등 인간에 대한 심오한 논제들을 이렇게 즐겁게 논쟁할 수 있어서 좋았다. 프랑스 작품이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연극 '진실거짓' 연습 현장 [사진=연극열전]

극의 네 주인공은 '알리스', '로렌스', '폴', '미셸'이다. '알리스'와 '폴'이 부부고, '로렌스'와 '미셸'이 부부지만 각각 '알리스'와 '미셸'이, '로렌스'와 '폴'이 서로 연인 관계다. '알리스' 역은 배우 배종옥과 김정난, '로렌스' 역은 정수영과 양소민, '미셸' 역은 김수현과 이도엽, '폴' 역은 김진근, 이형철이 맡는다.

배종옥은 "대본을 읽고 꼭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남녀의 이야기이자 인생, 사랑을 깊게 파고드는 작품을 10년간 찾아왔고, '진실거짓'을 보는 순간 이거라고 느꼈다. 어떻게보면 단순한 이야기를 진실, 두 작품을 100분씩 끌어나가는 작가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계속해서 진실을 말하고 싶어하는 '알리스'조차 거짓을 택하게 되는 상황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같다. 2달 내내 즐겁게 준비했다. 관객들에게 작품과 캐릭터 매력이 충분히 전달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이어 "연극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다. 드라마, 영화도 그렇지만 무대 위 100분 동안 멈출 수 없다. 이런 상황이 배우를 성장하게 하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연기에 대한 공부도 되지만 요즘은 연극 무대가 재밌다는 생각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 무대에서 관객을 만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정난은 "거짓은 나쁘고 사람은 반드시 진실해야 한다고 배우지만 인생을 살면서 그게 맞나 생각이 든다. 일상생활에서도 거짓말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작품은 그런 상황을 재밌게 풀어낸다. '알리스' 역을 맡고 있지만 거짓을 통해 상황을 평화롭게 풀어가려는 '폴'과 '미셸'에게도 동의한다. 친절한 거짓말도 때론 필요하다. 진실과 거짓을 조화롭게 사용하는 것이 인생의 진리가 아닐까란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연극 '진실거짓' 포스터 [사진=연극열전]

2011년 연극 '단막극장' 이후 7년 만에 무대에 오르는 것에 대해 김정난은 "드라마나 영화도 재밌고 매력있지만 가끔 매체를 오래하다보면 매너리즘에 빠질 때가 많다. 스스로의 단점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오고 그럼 비슷한 연기를 하게 된다. 무대에 서면 하나의 작품을 깊게 파고들 수 있다. 연출과 스태프, 배우들과 함께 연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 스스로도 단점을 발견하고 알아가고 고쳐나가는 것이 연기에 도움이 된다. 자주는 아니지만 무대에 서서 관객을 만날 수 있어 좋고, 관객에게 행복을 줄 수 있어 좋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데뷔 23년차지만 연극 무대는 처음 도전하는 이형철은 "비행기 안에서 대본을 읽었는데 옆에 동생이 뭐라 하는지도 모를 정도로 재밌었다. 많은 대사 분량과 어떻게 '폴'을 연기할 지 몰라 망설이기도 했다. 그래도 연습 동안 너무 즐거웠고, 점차 극장, 무대에 설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도 사라졌다. 지금은 어딜 가도 후배가 더 많지만, 여기엔 후배가 없다. 선배님들이 연극 경험이 많아 배운다는 생각으로 즐겁게 연습했다. 관객 분들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마지막으로 안경모 연출은 "4명의 인물들이 희화적인 대상으로만 비춰지는 것이 아니라 나의 모습이자 우리의 모습이라 생각하며 보듬고 싶은 마음이 컸다. 관객들도 웃음과 함께 4명의 인물에 대해 애정을 갖고 보듬어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연극 '진실거짓'은 오는 2019년 1월27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2관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