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융 특화·창구 없는 점포 등장...효율화 방안으로 활용
일본·유럽 흐름 따라가...장년층 '역차별' 문제는 고민
[서울=뉴스핌] 류태준 기자 = 은행 영업점에 현금이 없다. 현금을 받지 않는 커피숍 얘기가 아니다.
시중은행이 디지털 기기와 상담 전용 창구만 있는 점포를 열었다. 이미 일본과 유럽에서 현금을 취급하지 않고, 금융자동화기기(ATM)를 나눠 쓰는 점포가 운영되는 것을 참고했다. 현금 사용이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앞으로 은행 점포를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단서를 얻겠다는 생각이다.
[사진=KB국민은행] |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김포한강신도시 운양지구에 디지털 특화 'KB디지털금융점'을 새로 열었다. 기본 업무는 STM(스마트 텔러 기기) 등을 활용하고, 창구에는 현금과 종이 서류를 없애 상담만 진행하는 점포다. 은행을 찾는 고객의 이용목적에 최적화한 구성이라는 설명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다른 은행이 해당 점포에 직원을 보내 상황을 살펴봤을 정도"라며 "고객의 반응을 살펴 긍정적인 부분은 다른 지점에도 적용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시도는 은행 점포의 미래 운영 방식 키워드가 '효율화'임을 보여준다. 기술 발달로 굳이 사람이 현금을 만지지 않아도 입출금, 공과금납부 같은 업무를 디지털 기기로 처리할 수 있다. 은행원은 심도있고 전문적인 금융 상담에 집중한다. 현금을 취급하지 않아도 되니 분실이나 누락 등 보안 문제도 없다.
◆ 창구 없는 점포도 등장...편의점 ATM기·키오스크 활용해 효율화
다른 시중은행도 ATM 자체 운영 부담을 줄이거나 창구 자체를 없애는 등 현금의 입지를 축소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GS25와 제휴를 맺어 편의점 내 ATM에서도 자행기기와 똑같이 현금 입출금 수수료를 없앴다. ATM을 점포 내에 직접 운영하면 공간 부담, 보안 관리 등 부대 비용이 발생한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국씨티은행 서교동점에는 일반적인 창구가 전혀 없다. 창구가 있던 자리는 대형 패널로 막혀 있고, 패널에는 ‘현금·통장·종이가 없는 디지털 점포'라고 적혀있다. 씨티은행은 지난해 6월 서교동점을 디지털 서비스 시범점포로 지정했다. 직원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기기로만 업무를 진행하고, 기존 창구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은 별도로 처리해주는 식이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등도 진화된 ATM이라 불리는 키오스크(터치스크린 방식 무인단말기)를 운영하는 등 창구에서 현금이 오가는 일을 최소화하고 있다. 'ㅇㅇ페이'처럼 은행 계좌에 있던 현금이 바로 판매자에게 이체되는 시스템도 입출금 과정을 줄이는 과정 중 하나다.
아오조라은행 내 설치된 ATM [사진=NHK] |
◆국민 90%가 현금 쓰지 않는 나라도...취약계층 '역차별' 우려는 고민
이같은 흐름은 일본과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시작됐다. 일본 NHK방송에 따르면 아오조라 은행 도쿄 출장소는 "운영시간 후 매일 진행되는 확인 작업 등을 줄이겠다"며 현금을 취급하지 않기로 했다. 창구를 통한 입·출금도 중단한다. '메가뱅크'라 불리는 미쓰비시UFJ와 미쓰이스미토모도 점포 외에 위치한 ATM을 공동이용하기로 했다. 뉴욕타임스는 스웨덴 은행의 절반은 이미 현금을 받지 않고, 국민 90%도 1년에 현금을 한 번도 쓰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국내 지폐 유통 상황도 변화를 보여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1986년 이후 처음으로 천원 지폐가 만원권보다 많아졌다. 천원짜리 지폐는 1년 전보다 1.1% 늘어난 15억9800만장이고, 만원권은 4.5% 감소한 15억1500만장으로 집계됐다. 모바일 등 온라인 거래와 카드결제가 늘어나고, 현금을 쓸 곳은 줄어든 탓이다.
은행 업무 80% 이상이 비대면 거래인만큼 현금 취급을 축소하는 것이 자연스럽기는 하지만, 취약계층에 대한 역차별 우려는 숙제다. 디지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노인과 현금 거래를 주로 하는 영세상인 등의 금융 접근성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 점포가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그나마 있는 곳도 창구에서 현금을 받지 않고, ATM기도 없어져간다면 은행 업무를 처리할 길이 없다는 뜻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년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은행 점포는 11.6%, ATM은 21%에 해당하는 1만개가 없어졌다"며 "노인을 비롯한 금융취약계층의 거주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은행의 사회적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도 "종이 통장이 점점 없어지는 것처럼 현금 취급이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방향"이라면서도 "장년층 고객 등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도록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kingjo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