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논의 확대회담, 美 배석자 폼페이오·볼턴·멀베이니
美 강경파 대변 볼턴, 대북 설득력과 협상력 높이는 포석
김정은 배석자 김영철·리용호, 1차와 달리 리수용 배석 안해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와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해 논의하는 확대정상회의에 초강경파로 알려진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해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서 열린 북미 확대정상회담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튼 국가안보보좌관, 믹 멀베이니 비서실장 대행 등을 배석시켰다. 반면 김 위원장은 김영철 조선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을 참석시켜 숫자상으로 균형이 맞지 않는 조합이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가운데)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메트로폴 호텔에서 진행된 2차 북미 정상회담의 확대회담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다. 2019.02.28. [사진= 로이터 뉴스핌] |
가장 관심을 끈 부분은 초강경파인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존재다. 볼턴 보좌관은 과거부터 대북 매파로 알려진 인사로 전날 있었던 만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볼턴 보좌관은 '선 비핵화 후 보상'을 뜻하는 리비아 모델을 강조하고 있는 인사로 북한은 리비아 모델에 대해 받아들이지 않을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리비아 모델은 카다피 리비아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인 이후 정권과 목숨을 잃어 북한으로서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다.
볼턴 보좌관의 참석은 미국 내 존재하고 있는 대북 강경파들을 설득시키려 하는 의미를 갖는다. 대표적인 대북 강경론자인 볼턴 보좌관을 설득할 수 있다면 미국 내 만연한 북한에 대한 불신을 누그러뜨리는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
여기에 북미 정상의 확대회담에서 영변 핵 시설 폐기 등 비핵화의 실질적인 조치가 논의된다는 점에서 비핵화 협상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존재인 볼턴 보좌관이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8.11.27. [사진=로이터 뉴스핌] |
지난해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때도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지는 4+4 확대회담에서는 미국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과 함께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여한 바 있다. 당시 북한에서는 김영철 부위원장, 리수용 노동당 외교담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었다.
믹 멀베이니 비서실장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이지만, 백악관 예산국장 출신으로 외교 전문가가 아니어서 볼턴 보좌관과 폼페이오 국무부장관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합리적인 보수 성향인 폼페이오 장관과 초강경파인 볼턴 보좌관이 배석하면서 미국의 북한에 대한 두 목소리를 대변함과 동시에 균형을 맞추는 역할도 있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또 한 명의 관심이 가는 배석자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함께 그동안 북미 비핵화 협상을 이끌어 온 존재여서 배석이 어색하지 않다. 김 부위원장은 그동안 김 위원장의 주요 정상회담 일정에 거의 빼지 않고 배석해왔다.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리용호 외무상이 노동당 내 외교라인의 책임을 지고 있는 리수용 위원장과 함께 배석한 것과 달리 2차 정상회담에서는 외교라인을 대표해 단독으로 배석한 것은 향후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공식 라인인 외무성에 보다 많은 역할을 맡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리 외무상은 비핵화에 전문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비핵화의 구체적인 합의 과정에서 이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한 배석일 가능성도 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