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성 기자 = 유돈케어 펀드이론 두 번째 시간입니다. 먼저, 펀드의 종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
펀드의 종류는 가장 대표적으로 주식형과 채권형으로 나뉩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글로벌형, 선진국형, 신흥국형 등으로 나뉩니다. 개별 국가에 투자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 |
박재우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본부장은 투자 대상 자산이 넓을수록 변동성이 줄어든다고 조언합니다.
![]() |
중국에 투자하는 펀드에 가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중국 펀드보다 이머징 펀드에 가입하면 위험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에 투자하면 위험도가 한 층 분산됩니다.
![]() |
주식형 펀드의 경우 성장형과 가치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인기를 끌었던 FAANG 주식 같은 경우에는 성장형 펀드에 속합니다. 가치형 펀드는 수익률은 저조하지만 지속적으로 보유하면서 가치를 지켜볼 수 있는 펀드를 말합니다.
![]() |
경기 순환 사이클에 따라 가치형과 성장형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 |
이제는 채권형 펀드를 알아볼텐데요. 채권형 펀드는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면서 60%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
채권은 크게 투자등급채권과 투기등급 채권으로 나뉩니다.
![]() |
이 외에도 금, 석유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 |
해외펀드도 다양한 테마로 투자할 수 있는 펀드의 종류가 많습니다.
![]() |
이제 펀드와 경기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각 경기 상황마다 투자 적기인 펀드가 존재합니다.
![]() |
경기 회복기와 활황기에는 주식형 펀드, 투기등급 채권형 펀드가 좋습니다. 경기 후퇴기에는 각 펀드의 수익률이 비슷한 시기이며 경기 침체기에는 채권형 펀드를 추천드립니다.
![]() |
이론이 실제 시장에 적용됐는지 살펴볼까요? 2019년 상반기 펀드시장을 알아보겠습니다.
![]() |
상반기 공모펀드 설정액을 살펴보면 국내채권형 펀드와 해외 채권형 펀드가 각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2019년 상반기 인기를 끌었던 펀드를 살펴볼까요? 대표적으로 신한BNPP H2O 글로벌본드펀드와 하나UBS 글로벌인컴펀드가 있습니다.
![]() |
두 펀드 모두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인데요. 최근 펀드 시장에서는 절대수익추구 펀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
신한BNPP H2O 글로벌본드펀드는 헤지펀드 스타일의 펀드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싼 독일 국채를 팔고 그 자금으로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탈리아 국채를 사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
하나UBS 글로벌인컴펀드는 미국 주택저당증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펀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
마지막으로 펀드 투자에 대한 조언을 구했는데요.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밋밋한 펀드'가 좋다는 말씀도 해주셨는데요. '밋밋한 펀드'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말씀이셨습니다.
![]() |
지금까지 펀드 이론 기초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봤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실전 투자에 앞서 꼭 알아야 할 펀드 정성평가 방법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유돈케어 다음 시간에도 함께해요~
[영상 다시보기▼]
hslee@new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