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핌] 박재범 기자 = 전국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광주시만 농업인 안전보험에 대한 자치단체 지원을 전혀 하지 않아 농업인 90%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임미란 부의장은 17일 열린 제282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발언을 통해 사고위험이 높은 영세하고 고령의 농업인이 다수인 광주시의 농업인 안전보험 지원을 촉구 했다.
![]() |
임미란 광주광역시의회 부의장 [사진=광주시의회] |
임 의원은 농업인 안전보험은 농작업 중 발생하는 사망 및 신체상해를 보상함으로써 산재보험 가입대상에서 제외된 농업인을 보호하고 생활안전 도모 및 사회 안전망을 제공하기 위해 농업인 안전재해 보험법인 ‘농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을 제정, ‘농업인 안전보험’의 가입비 50%를 국가에서 지원하는 정책보험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전·대구시 등 광역단체들이 오래전부터 농업인 안전보험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원현황을 보면 대전·인천·대구시가 20%, 부산·울산시가 30%, 경기도 38%를 지원하고 있는데 반해 광주시만 유일하게 지원이 없다며 농업인 안전보험 지원을 촉구했다.
임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광주시 농업인은 2019년 4월 ‘농산물 품질관리원 농업 경영체’ 등록 기준으로 2만4992명이며 특·광역시 중 대구시 3만3928명에 이어 두 번째다.
자치구별로는 광산구 8662명, 북구 6451명, 서구 4319명, 남구 4156명, 동구 1404명 순으로 남성 1만7123명, 여성 7869명이며 이중 60대 이상이 1만4915명으로 60%를 차지하고 있어 대도시권인 광주시 농업인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빨라지고 있다
임 의원은 “높은 재해율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자영 농업인은 일반 근로자와 달리 산재보험에 가입 되어 있지 않아 이로 인해 뜻밖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농업인이 직접 감당해야 하는 치료비 등 경제적 부담이 매우 크다”며 “2019년 8월 5일 기준 농업안전보험에 가입한 광주시 농업인은 2756명으로 전체 농업인의 10% 정도로 매우 저조한 가입률을 보이고 있으며 약 90%의 농업인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광주시는 임 의원의 ‘농업인 안전보험’ 지원 촉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필요성을 공감하고 내년부터 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농가의 부담 보험료 일부에 해당하는 20%를 만15~87세의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농업인에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jb545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