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사스 때 급등하다 안정...메르스 때 서서히 상승
"당시 금융시장, 현재와 달라..단순 비교 어려워"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창궐 당시엔 1개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때는 3개월간 달러/원 환율이 상승했다. 이에 외환시장에선 이번 '우한 폐렴'이라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환율이 어느 정도 기간에 어느 수준으로 상승할 것인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사스와 메르스, 우한 폐렴이 '닮은꼴'이지만 발생할 당시와 여러 환경이 달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게 적합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28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월 오른 1176.7원에 마감했다. 설 연휴 기간동안 우한 폐렴이 확산되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져 9.8원 오른 1178.5원에서 출발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10원 이상 상승할 것으로 봤으나 상승폭이 크진 않았다는 반응도 나왔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리스크가 있을 때 시장은 통상 관망세를 보인다"며 "중간에 새로운 재료가 나온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켜보자'는 태도를 비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사스, 급등세 이후 안정...메르스는 서서히 상승
사스 전염 불안이 극심하던 2003년 3월 내내 달러/원 환율은 급등세를 보였고 한달 간 60.9원 상승했다. 그러다 환율은 4월 18일까지 조정을 받은후 다시 반등해 4월 25일 기준 1237.80원을 기록했다. 이후 5월 초부터 안정을 되찾았다.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2003년 사스 사태 당시 달러/원 환율 추이 [자료=키움증권 영웅문] 2020.01.28 lovus23@newspim.com |
메르스 때는 양상이 달랐다. 국내 최초 확진 환자 발생 직후엔 안정세를 보이다가 서서히 상승하는 곡선을 나타냈다. 2015년 5월 20일 환자가 처음 발생하자 전 거래일 대비 7.9원 오른 1096원에 마감했다. 바로 다음 날에는 2원 가량으로 변동폭을 좁혔다. 이후 8월까지 서서히 상승 흐름을 보였다. 달러/원 환율은 8월 20일 기준으로 석달 동안 89.1원이 올랐다.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달러/원 환율 추이. [자료=키움증권 영웅문] 2020.01.28 lovus23@newspim.com |
두 가지 케이스가 상이한 이유는 질병 인식이 기인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홍철 애널리스트는 "메르스는 중동이 전염병이 자주 나오는 장소는 아니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생소했다. 이 때문에 외환시장의 반응이 바로 반응을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반면, 사스는 홍콩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사람들이 인식을 비교적 금융시장의 여파를 쉽게 예상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사스 사태와 유사"..."메르스·사스와 비교 어려워"두 가지 선례 가운데 사스 사태가 현재 상황과 비교상대로 적합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우선 발생 및 확산되는 지역이 주로 중화권이고,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경기 상황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치사율이 높지 않다는 점도 비슷해 비교할 수 있다.
오창섭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사스 사태 당시 지금과 유사하게 경기가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국면이었다"며 "현재 경기 상황과 2003년 당시가 비슷하기 때문에 사스와 비교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사스와 우한 폐렴 모두 감염률이 높은 한편 치사율이 높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우한 폐렴 확진자는 중국 내에서만 4000명을 돌파했고 아시아를 비롯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확진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사망자 수는 10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감염률은 높지만 치사율은 2%로 추정된다.
사스는 2003년 당시 홍콩을 중심으로 퍼져나가 총 8096명이 확진 판정을 받고 774명이 사망했다. 국내에서는 추정환자 3명이 나왔을 뿐 확진자는 없었다. 반면, 메르스 감염자 수는 1200명이었는데 치사율은 40% 가까이 이르렀다. 국내에서 186명의 확진자와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다만, 선례와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와 현재 금융시장 환경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응주 대구은행 딜러는 "2003년과 달리 최근 원화가 중국 위안화 '프록시'(proxy)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역외 시장 참가자들이 원화가 중국 위안화보다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원화로 대체해 헷지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화가 필요이상으로 약세를 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응주 딜러는 메르스 당시와도 비교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당시 메르스가 퍼졌던 2015년 달러/원 환율이 질병 이슈로만 움직였던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3~4개월간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lovus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