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학자 10인의 진단 '하반기 중국 경제'… V자형 반등세 이어갈까

기사입력 : 2020년07월16일 16:02

최종수정 : 2020년07월16일 16:14

코로나 완화, 정책 지원 하에 반등세 지속
무역갈등, 코로나 장기화 불확실성에 주목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2분기 3.2%의 경제성장률로 예상을 뛰어넘는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하반기에도 V자형 반등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 현지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 되지 않고,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된다는 전제 하에서 하반기 중국 경제가 상반기와 비슷한 또는 더욱 뚜렷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추이, 중국과 해외 주요 국가와의 무역 갈등, 미국 대선 등 적지 않은 불확실성에 무게를 두며 하반기 중국 경제 예측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베이징 신화사 = 뉴스핌 특약]

◆ 상반기보다 빠른 회복세, 최대 6%대 성장 기대 

중국 싱크탱크 국제경제교류센터의 장옌성(張燕生) 수석연구원은 "2분기부터 중국 경제와 무역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하반기 경제는 상반기보다 더욱 개선돼 정상 궤도를 찾아갈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해외 코로나19 사태와 미중 갈등이 여전히 변수로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스탠다드차타드 중화권·북아시아 담당 딩솽(丁爽)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분기를 기점으로 중국 경제는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다"면서 "하반기 코로나19가 재확산 되지 않고, 확장적 재정정책 및 완화적 통화정책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할 경우 3~4분기 경제 성장률은 6% 정도까지, 올해 전체 성장률은 2.5%까지 회복돼 주요 20개국(G20) 중에서 몇 안 되는 플러스 성장 달성 국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공상은행 국제의 청스(程實)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2분기 성장률을 넘어 6% 정도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하반기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경제가 직면할 최대 불확실성은 단연 코로나19 사태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월개증권(粵開證券)의 리치린(李奇霖)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 중국 경제가 V자형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 "중국은 시중 유동성 투입이 비교적 빠르고, 코로나19 사태 방역 효과도 뛰어난 만큼 경제도 빠르게 정상 수준을 찾아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내년 1분기 매우 뚜렷한 경제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중국법인의 장리칭(張禮卿)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분기를 기점으로 중국 경제가 V자형 반등세를 이어갈 기반이 잡혀진 셈"이라면서 "중국은 뛰어난 코로나19 방역 성과, 빠른 업무정상화를 비롯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바탕으로 올 한해 2%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신시대증권(新時代證券)의 판샹둥(潘向東)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 코로나19가 재확산되지 않을 경우 지금과 같은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면서 "인프라 및 부동산 투자, 소매판매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더욱 큰 성장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무라증권 중화권 루팅(陸挺)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올해 2분기 중국 경제는 매우 뚜렷하고 전형적인 V자형 반등세를 기록했다"면서 "하반기에도 이 같은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5% 가까이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하반기 중국 경제가 직면한 불확실성에 주목하면서 신중한 관측을 내놓고 있다. 

중위안은행(中原銀行)의 왕쥔(王軍)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 중국 경제는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대내적으로는 내수둔화와 중소∙수출기업 폐업에 따른 고용문제에, 대외적으로는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의 지속과 세계 주요국과의 무역 갈등 심화 등이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화바오펀드(華寶基金)의 리후이융(李慧勇) 부대표는 "하반기 중국 경제는 3대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면서 △미국 대선, 코로나19 재확산, 지정학적 갈등 등에 따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내수 부진 및 기업 성장 모멘텀 부족 △악성부채의 증가를 3대 리스크로 지목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0.07.16 pxx17@newspim.com

◆ 불확실성에 회복세 둔화, 투자는 지금이 적기

일각에서는 하반기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되면서, 중국 경제 회복세 또한 둔화된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보수적 전망도 나온다. 

중국의 자산관리 전문업체 노아웰스매니지먼트(諾亞財富)는 '2020년 하반기 투자책략 보고서'를 통해 하반기 중국 경제가 L자형 경기둔화 추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는 "하반기 V자형 경제회복세의 지속은 어렵고, 대체로 회복세는 상반기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면서 "하반기에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상반기와 같은 대수만관(大水漫灌∙물을 대량으로 한꺼번에 푼다는 뜻으로 막대한 재정을 쏟아 붓는 중국식 양적완화 정책을 일컬음) 정책을 펼치는 대신 금리인하, 중소기업 세금 감면 등의 신용완화 위주의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해외 중앙은행이 이미 상반기에 경기부양을 위한 실탄을 대거 소진한 만큼 하반기 주식과 채권 시장 전망은 상대적으로 낙관적이지 않다고 판단, 지금이 주식 및 채권 시장에 투자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A주에 나타나는 급등 장세가 하반기 완전한 불마켓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완화적 통화정책의 지속 △제도 개혁 △수익률 대폭 개선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완화정책 기조 속 자금의 일정한 투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첫 번째 요건으로 꼽았다. 2007년, 2009년, 2014~2015년 강세장의 경우 모두 양적완화 정책을 통한 유동성 투입이 전제됐었다. 만약, 완화 정도가 부족하거나 지속성이 부족할 경우, 2017년의 가치주(기업의 현재 가치가 실제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 중심 강세장, 2019년의 성장주(실적이 꾸준히 상승하거나, 미래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는 주식) 중심 강세장과 같은 구조적 강세장(특정 업종과 특정 기업의 재평가를 통해 연출되는 강세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제도 개혁이 수반돼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지난 2007년 유통주(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주식)와 비유통주(중국 금융당국이 국영기업의 주식 가운데 매매하지 못하도록 묶어둔 일종의 보호예수 물량) 개혁 추진과 2014년 그림자은행 감독 조치 강화, 2018년 자산관리 신규 규정 마련 등의 제도 개혁이 있었고, 이와 함께 강세장이 연출됐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지난 2007년과 2009년처럼 수익률이 대폭 개선되는 것 또한 강세장 견인의 주요 요건으로 꼽힌다. 수익률 개선은 완전한 강세장 도래의 필수 조건은 아니나, 수익률이 뒷받침되지 않는 강세장의 도래는 빨리 와서 빨리 사그러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현재 중국 A주에서 나타나는 강세장은 위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완벽한 강세장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현재 A주는 자금 정책 완화 수위가 축소되고, 수익률 개선 또한 아직 모호한 상태이며, 제도상으로는 기업공개(IPO) 등록제 개혁의 효과 또한 단기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고서는 현재 A주가 완전한 강세장이 아닌, 구조적 강세장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판단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尹 지지율 3%p 하락한 32.2%…"채상병 특검법 재공방 등 영향"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소폭 하락하며 30%대 초반을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잘하는 편+매우 잘함)는 지난 조사(35.2%)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32.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잘못하는 편+매우 못함)는 62.2%→65.3%로 3.1%p 상승하며, 긍·부정 격차는 지난 조사 대비 27.0%p→33.1%p로 격차가 벌어졌다. 성별로 남성은 긍정 29.2%, 부정 69.2%, 여성은 긍정 35.3%, 부정 61.4%다. 연령별로 만18~29세는 긍정 25.2%, 부정 72.3%다. 30대는 긍정 26.8%, 부정 72.2%, 40대는 긍정 18.0%, 부정 80.4%로 가장 낮은 지지율 나타냈다. 50대는 긍정 29.1%, 부정 69.5%, 60대는 긍정 43.5%, 부정 54.3%, 70대 이상은 긍정 54.2%, 부정 39.2%다. 지역별로 서울은 긍정 29.5%, 부정 67.6%, 경기·인천은 긍정 29.5%, 부정 68.7%다. 대전·충청·세종은 긍정 32.8%, 부정 67.2%, 강원·제주는 긍정 36.8%, 부정 60.7%다. 부산·울산·경남은 긍정 35.8%, 부정 63.6%, 대구·경북은 긍정 46.6%, 부정 47.6%다. 광주·전남·전북은 긍정 24.3%, 부정 69.7%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종부세 폐지·상속세율 인하 예고 이후 국정 지지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청년층과 40대의 취업률 저하 등 체감 민생경제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장기화,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의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발의 발언으로 인한 공방, 소련 해체 후인 1996년에 폐기됐던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사실상 부활한 러시아-북한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로 안보 불안 등이 지지율을 하락하게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2.9%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imsh@newspim.com 2024-06-27 06:00
사진
친족간 재산범죄 처벌 가능해진다...‘친족 상도례’ 헌법 불합치 결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8촌 내 혈족이나 4촌 내 인척·배우자 간 발생한 절도·사기죄 등 재산범죄에 대한 형을 면제하는 '친족상도례' 조항은 헌법에 위배된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헌재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형법 제328조 제1항에 대한 위헌확인 소송 4건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헌정사 최초 '검사 탄핵' 사건인 안동완 부산지검 검사 탄핵사건을 비롯해 종합부동산세, KBS 수신료 분리 징수,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에 대한 대체복무역 관련 헌법소원 등의 선고를 앞두고 재판정에 자리해 있다. 2024.05.30 choipix16@newspim.com 형법 제328조 제1항은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 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제323조의 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적장애 3급의 장애인인 청구인 김모 씨는 삼촌 등을 준사기,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하지만 검찰은 그에게 청구인의 동거 친족으로서 형면제 사유가 있다는 이유로 공소권 없음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아울러 횡령 혐의로 계부를 고소한 또 다른 청구인 김모 씨,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부친을 대리해 업무상횡령 혐의로 부친의 자녀들을 고소한 장모 씨, 어머니 명의 예금을 횡령한 혐의로 동생과 그 배우자를 고소한 청구인 최모 씨도 모두 비슷한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에 김씨 등은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친족상도례는 과거 가정 내부의 문제는 국가형벌권이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고려와 함께 가정의 평온이 형사처벌로 인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실질적 유대나 동거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고, 또한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에 대해 동거를 요건으로 적용된다"며 "이처럼 넓은 범위의 친족간 관계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에도 일률적으로 형을 면제할 경우, 경우에 따라 형사피해자인 가족 구성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희생시키는 것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판대상조항은 강도·손괴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재산범죄에 준용된다"며 "이러한 재산범죄의 불법성이 일반적으로 경미해 피해자가 수인 가능한 범주에 속한다거나 피해의 회복 및 친족간 관계의 복원이 용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피해자가 독립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무 처리능력이 결여된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적용 내지 준용하는 것은 가족과 친족 사회 내에서 취약한 지위에 있는 구성원에 대한 경제적 착취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것이다. 헌재는 "그런데 심판대상조항은 이같은 사정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법관으로 하여금 형면제 판결을 선고하도록 획일적으로 규정해, 대부분의 사안에서는 기소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에 형사피해자는 재판절차에 참여할 기회를 상실하고, 기소가 되더라도 '형의 면제'라는 결론이 정해져 있어 형사피해자의 적절한 형벌권 행사 요구는 실질적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끝으로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의 위헌성은 일정한 친족 사이의 재산범죄와 관련해 형사처벌의 특례를 인정하는 데 있지 않고, '일률적으로 형면제'를 함에 따라 구체적 사안에서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을 형해화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판시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에 대해 단순 위헌결정을 하는 대신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면서 그 적용을 중지해 내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 기한을 뒀다. 개선입법이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조항은 202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한편 이날 헌재는 형법 제328조 제2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단도 내렸다. 형법 제328조 제2항은 '제1항 이외의 친족간에 제323조의 죄를 범한 때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피해자의 고소를 제한하는 규정이 아니고,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사나 기소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피해자가 사건 재판절차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견을 진술하는 등 법관에게 적절한 형벌권을 행사해 줄 것을 청구하는 절차적 권리가 제약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심판대상조항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적·문화적 특징 등을 고려해 일정한 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재산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고소를 소추조건으로 정해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국가형벌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합리적 이유가 있다"고 부연했다. hyun9@newspim.com 2024-06-27 15: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