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볼트 리콜에 '불확실성'↑
GM, 배터리셀 문제 지목·2022년형 모델까지 포함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초긴장 중이다. GM 쉐보레 볼트 EV 리콜 결정이 두 차례 이어지면서 원인 규명, 충당금 문제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 거래소 "소명되면 심사 돌입"... 업계 "원인조사 수개월 소요 가능성도"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6월 8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거래소는 영업일 기준 45일의 기간을 두고 해당 기업의 상장 예비심사를 진행한다. 심사 종료 기한은 8월10일이다. 하지만 보름이 지난 현재까지 심사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쉐보레 볼트EV [사진=한국지엠] |
거래소 관계자는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이후 영업일 기준 45일 내에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연기된 것"이라며 "심사중 추가적으로 필요한 확인사항이 있을 경우 심사를 연기하고 자료 제출 등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련 내용이 소명되면 심사에 재돌입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예비심사 연기와 관련 지난달 말 GM의 볼트 EV 첫 번째 리콜 결정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해석했다. GM은 지난달 말 전세계에서 판매된 판매된 2017~2019년형 볼트 EV 6만9000대를 대상으로 리콜 결정을 내렸다. 당시 추산한 리콜 비용은 8억달러(약 9468억원)였다.
여기에 GM이 지난 주말 추가 리콜을 결정하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GM은 북미 지역에서 팔린 2019~2022년형 모델 쉐보레 볼트 EV 7만3000대에 대해 추가 리콜을 발표했다. 이번 리콜의 추산 비용은 10억 달러(약 1조1835억원)다. 두 차례에 걸친 리콜의 총 비용은 18억 달러(약 2조1303억원)에 달한다.
GM이 리콜하는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셀을 생산하고 LG전자가 모듈화해 GM에 납품해왔다.
LG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은 GM 발표 직후 "고객사와 함께 리콜 조치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GM,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3사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원인조사의 결과에 따라 충당금 설정과 분담 비율 등이 정해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GM 입장에서 볼트EV는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 모델로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적당한 타협이 아닌 철저한 원인규명이 필요하다"면서 "원인 조사에 수 개월이 소요될 수도 있고 이 경우 IPO가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 한다"고 우려했다.
◆ 현대차 코나EV 리콜 이후 추가 화재·폭스바겐 ID.3 화재도 걸림돌
이는 지난 주말 GM의 리콜 발표에서 지난 달 리콜 발표 당시 보다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는 점도 반영됐다. 외신 등에 따르면 GM은 'LG로부터 리콜 비용의 배상 약속을 받아낼 방침'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현재 추산되는 리콜 비용 약 2조1303억원 중 비용 분담률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GM 측이 배터리 결함으로 몰고 갈 경우 LG가 책임져야 할 분담금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특히 GM이 이번 리콜 발표에서 배터리셀의 결함을 지목하며 LG에너지솔루션 입장에서는 부담이 더해졌다는 평가다. GM은 지난 달 리콜 당시 "배터리 모듈 제작 과정의 문제로 배터리셀에서 두 가지 드문 결함이 동시에 발생했다"는 입장에서 "배터리셀에 음극 탭 결함과 분리막 접힘 등 두 가지 제조 결함이 동시에 존재할 가능성이 발견됐다"고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LG화학 오창 전기차배터리 공장 생산라인. [사진=LG화학] |
GM에 공급되는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셀을 생한하고 LG전자가 모듈화해 왔다. 지난 달 리콜 당시 LG전자가 2346억원을, LG화학이 910억원을 각각 충당금으로 쌓았지만 배터리셀을 지목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의 부담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GM의 발표로 인해 LG에너지솔루션의 신뢰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해석도 일부 나온다.
GM은 이번 리콜에 가장 최신형인 2019~2022년형 모델과 LG에너지솔루션의 '마더 팩토리(제품 개발 및 제조의 중심 공장)'인 오창공장을 포함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신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되고 제조 과정의 컨트롤타워 역할이 되는 마더 팩토리로 볼 수 있는 오창공장 생산 제품의 결함은 신뢰도에 적지않은 타격을 줄 수 있다"면서 "더욱이 GM이 리콜에 최신형인 2022년형 모델을 포함했다는 점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의 코나EV는 리콜 결정 및 단종 발표 이후 또 다시 화재 사건이 발생했고 지난 주말 폭스바겐 ID.3 화재가 추가로 발표되면서 추가 리콜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그럼에도 IPO 연내 추진 가능성을 여전히 높게 보는 시각도 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GM의 1차 리콜 때부터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원인조사를 진행해 어느 정도 관련 자료가 축적된 게 있다"면서 "이번에 범위를 확정하면서 오히려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