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10/19 중국증시종합] 양돈·ESS株 강세 주도 '상승 마감'

기사입력 : 2021년10월19일 17:13

최종수정 : 2021년10월19일 17:23

상하이·선전 거래액 1조 위안 하회

상하이종합지수 3593.15 (+25.01, +0.7%)

선전성분지수 14499.77 (+149.75, +1.04%)

창업판지수 3297.29 (+20.81, +0.64%)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19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 오른 3593.15포인트를, 선전성분지수도 1.04% 뛴 14499.77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창업판지수도 0.64% 상승한 3297.29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 1조 위안을 돌파했던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9733억 위안으로 다시 1조 위안을 밑돌았다.

해외자금은 유입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39억 6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7억 5500만 위안의 순매수를,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21억 52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0월 19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이날 섹터 중에서는 양돈과 에너지 저장장치(ESS) 섹터가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내며 강세를 주도했다.

양돈 테마주 가운데 정방과기(002157), 천강바이오(天康生物·002100), 쌍회개발(000895)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천방식품(002124)이 8% 가까이 급등, 대장주인 목원식품(002714)이 6% 이상 급등 마감했다.

하락세를 지속했던 돼지고기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해당 섹터 주가 상승의 주된 배경이 됐다.

동흥증권(東興證券)은 중앙과 지방정부의 2차 돼지고기 수매·비축 조치 시행과 돼지고기 소비 성수기인 4분기 진입에 따라 돼지고기 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거나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창증권(首創證券)도 돼지고기 가격 반등세가 지속되어 춘절(중국의 음력설) 전까지 Kg당 15~16위안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춘절 전 돼지고기 가격이 대체로 업계 원가를 웃도는 흐름을 보였고 코로나19 상황 호전과 동절기 돼지고기 소비 증가 등을 감안하면, 올 겨울 돼지고기 소비가 올해 평균 수준에서 3~5%가량 증가해 돼지고기 가격 소폭 반등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했다.

올 4월부터 내림세를 이어간 돼지고기 가격은 Kg당 최고 28위안에서 kg당 최저 11.05위안 수준으로 떨어졌다.

목원식품의 경우, 주당 40.21위안의 발행가로 지배주주인 목원그룹(牧原集團)에 최대 1억 5000만 주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할 예정이라는 공시 발표가 주가 급등 재료가 됐다. 이를 통해 최대 60억 위안(약 1조 원)을 조달할 예정으로, 목원식품은 회사가 사업의 급속한 확장기에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경영을 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ESS 테마주의 강세도 두드러졌다. 대표적으로 신릉환경(申菱環境·301018), 진코 파워 테크놀로지(601778), 송지차량공조(002454), 클릭테크놀로지(002782)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 대표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華為) 산하의 '화웨이 디지털 에너지(華為數字能源)'가 최근 두바이에서 개최한 '2021 글로벌 디지털 파워 서밋'에서 '산둥 전력건설제3공정유한회사(山東電力建設第三工程有限公司)'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홍해의 ESS 프로젝트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호재가 됐다.

양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글로벌 청정에너지 및 녹색경제 센터 조성에 힘을 보탤 예정으로, 해당 프로젝트는 1300MWh(메가와트시) 규모로, 지금까지의 ESS 프로젝트 중 세계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중국 증권사들은 ESS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동오증권(東吳證券)은 당국의 지원 정책이 쏟아지면서 ESS 시장이 조 위안대의 블루오션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신형 ESS의 상업화 초기 단계에서 규모화 발전 단계로 나아가고 ESS 설치 용량을 3000만 kW(킬로와트)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0년 기준, 신형 ESS 설치 용량은 약 327만 kW에 불과해 앞으로 설치 규모가 확대될 여지가 매우 크다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주류, 농업, 석유, 보험, 석탄, 화학공업, 제약, 전력, 증권, 식품음료, 은행 등 섹터가 강세를 연출했다.

반면 관광, 호텔·외식업, 항공, 부동산 섹터는 약세를 나타냈다.

한편 은하증권(銀河證券)은 거래량 1조 위안의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투자 열기가 가라앉으면서 단기간 내에 이전과 같은 뜨거운 투자 열기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다. 그러면서 저평가된 호실적 종목이나 섹터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할 것을 조언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사진
신네르, 생애 첫 윔블던 단식 우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가 생애 첫 윔블던 남자 단식 정상에 올랐다. 신네르는 1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 센터코트에서 열린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 남자 단식 결승에서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2위)를 3시간 4분 만에 3-1(4-6 6-4 6-4 6-4)로 꺾었다. 올해 1월 호주오픈에 이은 시즌 두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품에 안고 상금은 300만 파운드(약 55억8000만원)를 거머쥐었다. 이탈리아 선수가 윔블던 단식 정상을 밟은 것은 남녀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남자 단식 마테오 베레티니, 2024년 여자 단식 자스민 파올리니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기뻐하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이번 결승은 지난 프랑스오픈 결승에 이은 두 선수의 메이저 결승 리턴 매치. 당시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2-3(6-4 7-6<7-4> 4-6 6-7<3-7> 6-7<2-10>)으로 패해 우승을 놓쳤다. 당시 트리플 매치 포인트를 날린 신네르는 경기 후 '삶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경기'라며 절치부심했고 한 달 만에 완벽하게 되갚았다.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당하던 5연패 사슬을 끊었다. 둘의 상대 전적은 여전히 알카라스가 8승 5패로 앞선다. 신네르는 이날 알카라스 특유의 드롭샷과 로브, 변칙 플레이에 흔들리지 않았다. 특히 3세트 게임스코어 4-4에서 브레이크에 성공하며 분위기를 완전히 가져왔다. 4세트에서도 다시 한 번 브레이크로 균형을 깼다. 게임스코어 5-4, 자신의 마지막 서브 게임에서 신네르는 평균 200km/h에 가까운 강서브로 트리플 챔피언십 포인트를 만들었고 두 번째 기회를 놓치지 않으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빈의 축하를 받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경기 후 신네르는 "파리에서 정말 힘든 패배를 겪었기 때문에 감정이 북받친다"며 "결국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그 안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다. 우리는 패배를 받아들이고 계속 노력했고, 그 결과 이렇게 트로피를 들게 됐다"고 말했다. 하드 코트 메이저에서만 세 차례(2023 US오픈, 2024 호주오픈 포함) 우승했던 그는 이번 잔디 코트에서 처음 정상에 올라 메이저 전천후 강자임을 입증했다. 유일하게 우승이 없는 클레이코트 메이저 프랑스오픈까지 제패할 경우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한다. 지난해 도핑 양성 반응이 나왔던 신네르는 도핑 사실이 알려진 뒤로는 올해 호주오픈에 이어 두 번째 메이저 트로피를 따냈고 도핑으로 인한 3개월 출전 정지 징계를 마친 올해 5월 초 이후로는 이번이 첫 메이저 우승이다. 반면 알카라스는 윔블던 3연패 도전에 실패했다. 통산 6번째 메이저 결승전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당했고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을 위해선 여전히 호주오픈 우승이 필요하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왼쪽)와 알카라스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을 마치고 축하와 위로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그는 "결승에서 지는 건 언제나 힘든 일이다"라면서도 "하지만 오늘은 야닉의 날이다. 훌륭한 테니스를 한 그에게 축하를 전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네르와 알카라스는 지난해 호주오픈부터 치러진 7번의 메이저 대회에서 타이틀을 전부 나눠 가졌다. 2023년엔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을,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US오픈을 차지했고, 올해는 다시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윔블던을,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을 가져갔다. 이제 두 선수는 메이저를 양분하는 확실한 '빅2'로 자리매김했다. psoq1337@newspim.com 2025-07-14 06: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