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A주 오전장 요약] 상하이종합 3700선 돌파, 메타버스 등 강세

기사입력 : 2021년12월13일 14:38

최종수정 : 2021년12월13일 14:43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상하이종합지수 3702.88 (+36.53, +1.00%)

선전성분지수 15277.41 (+165.85, +1.10%)

창업판지수 3500.11 (+33.31, +0.96%)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13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오전장을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1% 뛴 3702.88포인트를 기록하며 3700선을 돌파했다. 선전성분지수도 1.1% 상승한 15277.41포인트를, 창업판지수도 0.96% 오른 3500.11포인트로 오전 거래를 마쳤다.

메타버스, 증권, 전력, 고량주 섹터가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인 반면 관광, 소형가전, 방위산업 등 섹터는 약세를 나타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2월 13일 상하이종합지수 오전장 주가 추이.

◆ 상승섹터: 메타버스, 증권, 전력, 고량주

(1) 메타버스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 대표 인공지능 기업인 바이두(百度)가 오는 27일 메타버스 제품 '시랑(希壤)'을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주가 상승 재료가 된 것으로 보임.

같은 날 바이두의 AI 개발자 컨퍼런스도 시랑 앱(APP)을 통해 개최될 예정임. 중국 최초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열리는 행사로 동시에 10만 명이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최근 메타(구 페이스북)가 가상현실(VR) 기반의 '호라이즌 월드(Horizon Worlds)'를 공개하며, 우선적으로 미국, 캐나다의 18세 이상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기로 했다는 소식도 해당 섹터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임.

▷관련 특징주:

향신동방문화(恒信東方·300081): 18.00 (+3.00, +20.00%)

중문재디지털출판(中文在線·300364): 19.07 (+2.17, +12.84%)

중청보(中青寶·300052): 39.25 (+2.77, +7.59%)

금과문화산업(湯姆貓·300459): 5.18 (+0.30, +6.15%)

(2) 증권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10일 폐막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주식발행 등록제 전면 시행을 주문한 것이 호재가 된 것으로 보임.

주식발행등록제란 기업이 IPO(기업공개)를 추진할 때 증감회가 상장 대상 기업을 엄격하게 심사하는 것이 아닌, 상장 신청 기업의 서류 구비 요건 충족 여부만 확인하는 제도를 의미함. 이에 따라 상장 희망 기업은 증감회가 규정한 서류만 제대로 갖춰 신청하면 오랜시간 기다릴 필요없이 증시에 상장할 수 있게 됨.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은 등록제 전면 시행이 주식발행 효율과 직접 융자 비중 제고에 도움이 되고, 증권사의 투자은행(IB) 업무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함.

▷관련 특징주:

화림증권(華林證券·002945): 15.47 (+1.13, +7.88%)

저상증권(浙商證券·601878): 13.53 (+0.73, +5.70%)

흥업증권(興業證券·601377): 10.24 (+0.23, +2.30%)

동방증권(東方證券·600958): 15.97 (+0.31, +1.98%)

(3) 전력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지난 8~10일 열린 중국의 내년 경제 운영 청사진을 제시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를 강조한 것이 호재가 된 것으로 풀이됨.

회의에서는 △ 석탄의 청정, 고효율 이용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 녹색·저탄소 기술 개발 난관 돌파 △ 에너지 소비 총량 통제 대상에 신규 신재생에너지를 불포함하는 등의 내용이 언급됨.

국성증권(國盛證券)은 '에너지 소비 총량 통제 대상에 신규 신재생에너지를 불포함'하는 것은 당국이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함. 에너지 사용 기업은 신재생에너지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소모 총량을 늘림으로써 에너지 사용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며 녹색전력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함.

▷관련 특징주:

심양금산에너지(金山股份·600396): 2.85 (+0.26, +10.04%)

화능국제전력(華能國際·600011): 8.94 (+0.81, +9.96%)

상해전력(上海電力·600021): 13.41 (+1.15, +9.38%)

운남문산전력(文山電力·600995): 20.15 (+1.43, +7.64%)

(4) 고량주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10일 중국 고량주 대표기업인 귀주모태와 오량액 그룹의 고위 임원들이 좌담회를 열고 기업과 업계의 미래 발전에 관한 의견을 교류했다는 소식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양사는 업계 선두기업으로서 교류와 소통 메커니즘을 개선하고 귀주모태와 오량액의 협력을 위한 새로운 장을 열어, 중국 고량주 업계의 질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데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

▷관련 특징주:

하북노백간주류(老白幹酒·600559): 32.97 (+3.00, +10.01%)

영가양조(迎駕貢酒·603198): 77.42 (+3.62, +4.91%)

산서행화촌분주(山西汾酒·600809): 346.55 (+12.44, +3.72%)

귀주모태주(貴州茅臺·600519): 2158.56 (+68.56, +3.28%)

◆ 기타 특징적인 내용

-13일 오전 상하이·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 8336억 위안.

-해외자금은 유입세가 우위.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 55억 1000만 위안 순매수.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