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티앤씨 '리젠'섬유, 노스페이스 등 공급
SK케미칼, 화장품 용기에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2050년 600조 전망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정유·화학업계의 올해 최대 관심사중 하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전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규제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 차원에서 경쟁적으로 재활용 사업에 뛰어든 바 있다. 올해부터는 선두업체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돈벌이에 나설 것이란 기대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중 선제적으로 폐플라스틱 사업에 뛰어든 효성티앤씨의 경우 최근 몇해 간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하며 수익을 내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버려진 페트병 등을 재활용해 만든 섬유를 '리젠(regen)'이라는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는데 실제로 노스페이스,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아웃도어 의류에도 적용, 판매하고 있다.
SK케미칼의 지속가능 패키징 솔루션으로 만들어진 화장품 용기 [사진=SK케미칼] |
리젠은 원사 1㎏당 500㎖ 페트병 50개를 재활용할 수 있고 폐기 또는 소각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다. 효성티앤씨는 2008년에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폴리에스터 섬유를 선보였고 현재 국내 친환경 섬유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매출도 매해 큰폭으로 상승중이다. 효성 관계자는 "2019년에서 2020년에는 23% 상승했고 지난해는 아직 집계가 완료되지 않았지만 상승폭이 더 높다"고 말했다.
SK케미칼도 지난해 세계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 기술로 만든 플라스틱 용기 '에코트리아(ECOTRIA) CR'의 양산에 돌입했다.
SK케미칼은 지난 2000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코폴리에스터 상용화에 성공한데 이어 세계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한 폐플라스틱을 적용해 코폴리에스터를 만들어낸 것이다. 코폴리에스터는 PC(폴리카보네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등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고기능성 수지로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BPA) 검출 우려가 없는 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로레알, 에스티로더, 샤넬 등 글로벌 화장품업계에서도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에코트리아 CR은 버진 플라스틱을 활용한 제품과 물성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아 화장품 용기 외에도 식품 포장, 가전, 생활용품 등에서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노스페이스 모델이 리젠서울이 적용된 2021년 가을 신상품 의류를 착용하고 있다.[사진=노스페이스] 2021.08.19 yunyun@newspim.com |
SK케미칼은 연내에 에코트리아 총 1만톤(t) 이상을 생산할 예정이며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는 플라스틱 소재 제품을 100% 그린 포트폴리오로 전환할 계획이다.
선두에서 두 회사가 달리는 가운데 다른 정유, 화학사들도 수익 창출에 나설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SK지오센트릭은 지난해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해 열분해유 생산, 정유·석유화학 공정에 투입해 원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열분해유 100톤을 원유 정제 공정에 투입해 친환경 납사(나프타)를 생산하고 있다. GS칼텍스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50톤을 여수 공장 고도화시설에 투입해 실증사업을 시작했다. 고도화시설은 중질유를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경질유로 분해·정제하는 공정 설비다.
현재 전 세계 플라스틱 연간사용량 약 3억5000만톤 중 재활용률은 15% 정도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대부분 소각, 매립되거나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하지만 저탄소·친환경 시대와 맞물려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성장 속도는 갈수록 가팔라 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이 매년 10% 이상 상승해 2050년에는 6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에서도 정책을 통해 당근(보상)과 채찍(제재) 전략을 병행하면서 업계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재촉하고 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대통령소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그 안에는 석유·화학기업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제품 원료로 활용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고려해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침을 개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동시에 2030년까지 1회용품을 단계적으로 금지하고 플라스틱 제조시 재생원료 사용 비율을 3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기술 확보, 생산시설 확대 등 성장하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