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포인트(1/24)] 36조 원 규모 락업 해제, 비야디반도체 창업판 상장, 녹색 소비 촉진, 생태환경 모니터링 계획 발표 등

기사입력 : 2022년01월24일 09:17

최종수정 : 2022년01월24일 09:17

대규모 락업 해제
비야디 반도체 상장 임박
녹색 소비 촉진 강조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금주(1월 24~28일)는 춘제(春節·음력 설) 연휴 전 마지막 거래 주간이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 전문 매체들은 금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36조원 규모 보호예수(락업) 해제 △ 비야디(比亞的·002594) 반도체 부문 자회사 창업판(創業板) 상장 초읽기 △ 녹색 소비 촉진 △ 생태환경 모니터링 계획 발표 등을 꼽았다.

◆ 36조 원 규모 락업 해제

[사진=바이두(百度)]

금주 71개 종목의 73억 5100만 주가 보호예수(락업)에서 해제 됨. 최근 종가 기준 1947억 3500만 위안, 우리 돈 36조원 5848억 원 규모임.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강룡화성(康龍化成·300759), 코스코해운(中遠海控·601919), 신희망유업(新乳業·002946), 명양스마트에너지(明陽智能·601615)

① 해제 규모 가장 큰 종목, 강룡화성·패특서(貝特瑞·835815), ·코스코해운 순. 각각 463억 6400만 위안(28일 3억 7300만 주), 419억 8800만 위안(27일 3억 3200만 주), 221억 8000만 위안(24일 13억 2800만 주).

② 강룡화성·패특서·코스코해운, 1월 이후 각각 12.03%, 14.51%, 10.65%씩 하락.

③ 71개 종목 중 7개 종목, 전체 주식 수 대비 락업 해제 물량 비중 60% 이상. 외국인 직접 투자 가능한 A주 종목으로는 신유업, 오새강제약(奧賽康·002755) 포함.

◆ 비야디 반도체, 창업판 상장 초읽기

[사진=바이두(百度)]

비야디 반도체 부문 자회사 '비야디 반도체', 27일 선전거래소 창업판에서 기업공개(IPO) 전 증권발행심사위원회 심사(首發上會) 진행.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비야디(比亞的·002594)

① 비야디, 지난해 5월 반도체 부문 자회사의 분할 및 창업판 상장 계획 공시. 같은 해 6월 말 선전증권거래소가 비야디 반도체의 창업판 기업공개(IPO) 상장 신청 수리한 데 이어 10월에는 홍콩거래소의 승인 획득.

② 비야디 반도체, 2004년 설립. 반도체·스마트제어IC·스마트센서 등의 개발 및 생산 사업 영위. IPO 통해 26억 8600만 위안 조달 목표. 2020년 영업수입 및 순이익, 각각 14억 4100만 위안, 5863만 2400 위안. 2021년 영업수입은 30억 5000만~32억 위안, 순이익은 3억 4000만~3억 9500만 위안 될 것 예고.

③ 비야디, 이번 분할 상장 통해 차량용 반도체를 중심으로 산업·가전·재생에너지·전자제품 등 분야로 반도체 사업 확대한다는 계획. 현재 비야디 반도체 지분 72.3% 보유 중으로, 분할 상장 이후에도 지분 구조에 변화 없이 비야디가 실질 지배권 가짐.

◆ '녹색 소비' 촉진 강조

[사진=바이두(百度)]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7개 부처, '녹색 소비 촉진 실시 방안(이하 방안)' 발표. 배터리충전 및 교체 업계에 중대 호재 될 것 전망.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닝더스다이(寧德時代·300750), GCL에너지(協鑫能科·002015)

① '방안', 신에너지차 적극 보급 및 각 지역 신에너지차 구매 제한 규정 점진적 폐지 주문. △ 배터리 충전·교환소 및 수소배터리 충전소 등 인프라 건설 강화 △ 신에너지차 하향(下鄕) 캠페인 심화 추진 등도 강조.

② 신에너지차 생산량·판매량의 빠른 증가는 배터리 충전·교체 업계의 급성장 촉진할 것. 배터리 교체의 고효율성·친환경성 등 장점과 낮은 표준화 수준·높은 투자 비용 등 단점 고려할 때 향후 5년 동안은 중국 신에너지차 에너지 충전 시장에서 '충전 위주+교체 보조' 모델이 우위 점하겠으나, 자본·생산 업계·정책 등의 노력에 힘입어 교체 모델 보급 속도 빨라질 것(중신증권).

◆ '14.5 생태환경 모니터링 계획' 발표

[사진=바이두(百度)]

생태환경부, '14차 5개년 기간 생태환경 모니터링 계획(이하 계획)' 발표. 환경보호 관련 업계 발전 촉진할 것 분석.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영봉환경기술(盈峰環境·000967), 용마환경보호장비(龍馬環衛·603686), 한람환경(瀚藍環境·600323), 중절능국정환보과기(節能國禎·300388)

① '계획', 화력발전·철강·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석탄 채굴·폐기물 처리 등 중점 업계 기업의 온실가스(이산화탄소·메탄 등) 배출 모니터링 시범 업무 추진할 것 주문. 또한, 탄소 배출량 실측 기술 및 정보화 수준 제고 추진 언급.

② 중국 정부, '14.5' 기간 환경보호 및 고품질 발전 원칙에 따라 탄소 피크·탄소 중립 실현에 박차 가하면서 녹색 순환경제 적극 육성할 것. 따라서 △ 신에너지 환경보호 장비 △ 에너지 절약 및 배출량 감축 등 분야에서 투자 기회 찾을 수 있을 것. 또한, 환경 인프라 건설과 환경보호 종합 능력 제고도 계속해서 추진될 것. △ 고체 폐기물 처리 △ 오수 정화 등 업계도 주목할 만(중신건투증권).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