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원전기술 안전성 확보방안 논의
산업계·연구계·학계 전문가 참여 확대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소형모듈형원전(SMR) 등 차세대 원전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과 관련 규제 방향을 공유하고 새로운 원전 기술의 안전성 확보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오는 9일부터 10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2022년 원자력안전 규제정보회의'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규제정보회의는 원안위가 매년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원자력안전 기술현안·규제정보 관련 회의다. 2020~2021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올해 3년 만에 대면 개최된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6.01 jsh@newspim.com |
올해는 발표, 토론에 산업계·연구계·학계 전문가까지 참여를 확대했다. 9일 열리는 본회의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경쟁적으로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개발 동향과 관련 규제 방향 등이 논의된다.
최신 원전 기술개발에 따른 규제기관의 역할에 대한 정책 제언 등에 이어 새로운 원전기술에 대한 안전성 확보방안을 논의하는 패널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10일에는 원자력·방사선안전, 방사능방재 체계, 핵 비확산 등 총 14개 분과로 구성된 기술세션이 열린다. 발표 자료는 규제정보회의 홈페이지에도 게시된다.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을 신청하면 회의장을 신속하게 출입할 수 있는 큐알(QR)코드를 휴대전화 문자로 전송받을 수 있다. 9일 본회의는 유튜브를 통해서도 실시간 중계된다.
유국희 원안위 위원장은 "2022 규제정보회의는 최신 원전 기술에 대한 새로운 규제정책 방향, 안전전문 인력의 양성과 산·학·연 진출의 필요성 등 미래세대를 위한 원자력안전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