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보 탄생시킨 추경호·김주현, 尹경제팀 합류
10년 전 그린손보 데자뷔...실타래 풀 묘안 주목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올드보이들이 돌아왔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경제팀 구성을 두고 금융권 안팎에서 나오는 얘기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후보자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점부 장관은 행시 25회 동기로 전임 은성수(27회), 고승범(28회) 전 금융위원장보다도 선배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시절 금융권 주역으로 손발을 맞춰본 사이다.
두 사람은 보험업계 이슈 메이커인 MG손해보험과도 인연이 깊다. 2012년 그린손보가 매각을 거쳐 MG손보로 다시 태어날 때 핵심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2021.07.15 yrchoi@newspim.com |
당시 김 후보자는 예금보험공사 사장으로 그린손보의 공개매각을 이끌었다.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후 시장의 불신이 큰 상황에서 그린손보는 그와 다르다며 공개매각을 이끌었다.
추 부총리는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새 주인에 반대하는 노조 등을 적극 설득했다. 대주주인 사모펀드 자베스파트너스 외에 유한책임(LP)투자자로 새마을금고중앙회, 대유그룹 등이 있다며 '먹튀'(단기차익 실현) 우려를 달랬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지금. MG손보는 그린손보의 궤적을 그대로 밟고 있다.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이 법정 기준인 100% 밑으로 떨어졌고 경영실태평가는 낙제점을 받았다. 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요구를 받았지만 자본확충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결국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돼 다시 매각될 처지다.
상황은 10년 전보다 좋지 않다. MG손보 대주주인 사모펀드 JC파트너스가 당국 처분에 불복해 법적 대응에 나서면서 각을 세웠기 때문이다. 당국의 부실금융기관 지정 처분에 제동이 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그래도 골치덩어리였던 곳이 당국의 자존심까지 건드린 형국이다.
최근 금융위가 발표한 건전성 위기 보험사 구제안에도 MG손보는 쏙 빠졌다. 잉여액의 일부를 매도가능채권 평가손실 한도 내에서 가용자본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했지만 MG손보는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대부분 만기보유채권을 보유해 매도가능채권 평가손실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금리 급등으로 일시적 상황이 나빠진 보험사들과 MG손보는 다르다고 명백하게 선을 그은 것이다.
결국 MG손보를 매각하겠다는 당국의 뜻은 분명하다. JC파트너스는 자금력을 증명하지 못했고 주요 투자자인 새마을금고는 위기 때마다 단기 자금을 수혈했을 뿐 체질개선의 의지가 없다. 매각하지 않으면 정상화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한 이유다.
문제는 매수자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수를 저울질한다고 알려졌던 우리금융지주는 내부 횡령 사태로 투자 관련 업무가 올스톱됐다. 몇몇 사모펀드가 관심을 갖고 있다지만 본입찰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그나마도 사모펀드에 데인 당국에서 승인해줄 리가 없다는 의구심이 벌써부터 흘러나온다.
그렇다고 손을 놓기엔 더 망가질 것이 뻔하다. 올 1분기 MG손보의 RBC비율은 69.1%로 업계 최저다. 모든 가입자가 한꺼번에 보험금을 달라고 했을 때 30%는 받지 못한다는 얘기다. 170만건 보험계약을 가진 소비자의 불안만 커져가고 있다.
그린손보 매각부터 현 MG손보 사태까지 지켜본 내부 관계자는 "내년 새 회계제도가 도입되면 순자산이 플러스가 되지만 사업구조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이익을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느냐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정부에서 나서주지 않으면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10년 전 MG손보를 탄생시킨 금융권 올드보이들이 돌아온 지금, 꼬일 대로 꼬인 실타래를 풀 수 있을까. 이번만큼은 MG손보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꾀하고 금융당국의 상처난 자존심도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