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경북

속보

더보기

[포토에세이] '띠띠미마을' 산수유 고샅길 걷기만해도...밀려오는 봄향과 고요

기사입력 : 2023년03월26일 10:32

최종수정 : 2023년03월26일 10:32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3월 마지막 주말인 25일 하늘은 잔뜩 흐리고 뿌옇다. 전날부터 한반도를 뒤덮은 황사가 기승이다.

코로나19로부터 3년만에 일상이 비교적 자유로워지고 산천에 참꽃이며, 산수유며 벚꽃이 꽃망울을 터트리며 꽃 소식이 전해지자 사람들은 코로나19에 짓눌렸던 일상을 펴고 새 봄 속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는데 황사가 또 길을 막는다.

경북 북부의 산중에 자리한 봉화 '띠띠미마을'은 산수유마을이다.

띠띠미마을로 이어지는 왕복 2차선 도로 주변에 산수유나무가 노오란 꽃망울 터트리며 길손들을 맞는다. 도로명도 '산수유길'이다.

띠띠미마을의 본래 이름은 '후곡(後谷)' 또는 '두동(杜洞)'이다.

마을의 역사는 4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오른다.

조선 병자호란 당시 개절공(介節公) 두곡(杜谷) 홍우정(洪宇定,1595~1656)선생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정착해 마을을 열었다.

병자호란으로 오랑캐에게 앗긴 수모를 견딜수 없다며 이 곳에 은거한 두곡선생을 세인들은 '숭정처사(崇禎處士)'라 칭했다. 조정에서 벼슬을 제수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순조는 이조판서를 추증하고 '개절(介節)'의 시호를 내렸다.

두곡 홍우정의 어머니는 허난설헌의 오라버니이자 허균의 형인 허성의 따님이다. 허성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띠띠미'라는 이름은 '후곡'을 부르는 '뒷듬'에서 비롯됐다 전한다.

마을은 문수산이 뻗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구릉의 볕 바른 곳에 가옥이 형성되자 자연스에 집과 집을 잇는 고샅길이 생겼다.

언덕에 자리한 집들을 잇는 고샅길이 정겹다. 고샅길은 집을 둘러싼 토담들을 끼고 마을 사방으로 이어진다.

사방으로 이어지는 고샅길을 따라 산수유나무가 분방하게 뿌리를 내리고 마을을 껴안 듯 감싸안고 있다.

모두 제 멋대로 가지를 뻗치고 샛노란 꽃망울 터트리느라 분주하다.

마을을 연 두곡 홍우종 선생이 마을의 번창과 후손들을 위해 처음 심었다는 시조목(始祖木) 두 그루도 400여년이 지난 세월에 굴하지 않고 노란 꽃망울을 터트리며 봄향을 풀풀 날리고 있다.

두곡 선생이 산수유나무 두 그루를 심고 마을 연 띠띠미마을은 400여년이 흐른 지금도 남양홍씨 집성촌을 이루며 자신의 가계와 마을을 먹여살린 산수유나무를 자식처럼 건사하고 있다.

홍우정 선생의 호 '두곡(杜谷)'에서 읽히듯 당시 조선의 어지런 정계를 비집고 벼슬만을 쫒던 무리들과는 달리 문수산 자락 막다른 구릉에 은거하며 후손을 위해 산수유나무를 심고 거둔 홍우정 선생의 출세간(出世間)의 결연한 의지가 시조목에 고스란히 배어있는 듯 하다.

한 무리의 가족이 어린 아이들을 데불고 고샅길 산수유 노란 물결 속으로 들어선다. 아이들의 표정이산수유 노오란 꽃망울처럼 환하고 맑다.

연인인 듯 젊은 남녀가 연신 산수유꽃망울을 배경으로 손전화 카메라를 눌러댄다.

고샅길마다 노란 산수유 물결을 좇아 분주한 일상을 훌훌 벗어던지고 달려 온 사람들의 발길이 여유롭다.

고샅길을 따라 걷기만하는데 마음 가득 봄향이, 정갈한 고요가 밀려든다.

봉화 산중마을의 봄은 조금 드디게 온다. 띠띠미마을 봄의 절정은 4월부터 시작된다.

띠띠미마을을 먹여살린 산수유나무가 4월에야 비로소 속살을 활짝 열기때문이다.

이 때를 맞춰 봉화지역의 문인과 음악인 등 에술인들은 이곳 띠띠미마을 산수유 꽃더미 속에서 '산수유 신춘 시 낭송회'를 연다.

올해는 4월 첫 주말인 1일에 열린다.

산수유 노란물결을 타고 지역 시인들이 시를 들려주고 음악 동호인들이 섹스폰이며 바이올린 선율로 새 봄을 선사한다.

마을로 오르는 중턱 쯤 마을 아낙들이 그릇을 씻고 나르며 분주하다.

마을 한 켠 빈터에 비닐하우스를 두르고 간이 주막거리를 만들었다.

마을 곳곳에서 돋는 쑥, 머위, 달랑갱이, 원추리 따위의 봄나물과 집고추장으로 버무린 비빔밥과 쪽파, 유채, 감자로 지져낸 부침개, 추어탕, 막걸리가 대표 메뉴이다.

400여년 간 띠띠미마을을 지키며 아낙들이 대를 이어 간직해 온 맛이 봄향과 함께 오롯이 전해온다.

 

산수유 노란물결에 뒤덮힌 오래된 마을에서 산수유 꽃망울이 선사하는 봄향에 취해 사람살이 곡절과 역사가 파노라마처럼 켜켜히 쌓여 있는 고샅길을 거닐다가 마을을 나선다.

마을 어귀 쯤 문득 되돌아 보니 띠띠미마을은 막 알에서 부화해 첫 걸음마를 익힌 노란 병아리떼가 재잘거리는 닭둥우리같다.

nulche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김계환 오늘 영장심사...위증 혐의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채해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오는 22일 중앙지법에서 구속 심사를 받는다.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8일 모해위증 등 혐의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8일 모해위증 등 혐의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남세진 영장 전담 부장판사가 22일 오전 10시 30분 김 전 사령관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한다. [사진=뉴스핌 DB] 남세진 영장 전담 부장판사가 22일 오전 10시 30분 김 전 사령관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한다. 이번 구속영장 청구는 지난 2일 순직해병특검 출범 이후 첫 신병확보 시도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채상병 순직 사건 당시 초동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2월 군사법원에서 열린 박 대령의 항명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른바 'VIP 격노설'을 박 대령에게 전달한 적 없다고 주장하며, "나 아니면 안 된다는 착각과 영웅심리로 해병대의 역사와 전통을 흔들어선 안 된다"고 박 대령을 비판했다. 앞서 특검팀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구속영장 청구 사실을 알리며 "김계환은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 해병대 사령관으로,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에게 수사기록 이첩 관련 지시를 한 상관"이라며 "특검은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범죄가 중대하며,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크므로 구속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gdy10@newspim.com 2025-07-18 20:56
사진
'갑질 의혹' 강선우 살린 까닭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살리기로 했다.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심각한 상황에서 낙마자 없이 넘어갈 수는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징적인 낙마자로 이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다. 야당이 강력히 요구한 두 명 중 한 명을 낙마시킴으로써 야당의 체면을 세워주는 모양새를 취하는 동시에 독주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피하려 한 것이다.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이 후보자 낙마가 측근인 강 후보자에 비해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현역 의원 낙마 1호라는 불명예를 안게 돼 의원직을 수행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다. 이 후보자 낙마로 강 후보자를 구제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6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마련된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2025.06.26 gdlee@newspim.com 이 대통령과 여권 핵심은 지난주 이미 한 명 낙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청문회 이후에도 논란이 계속돼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마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특히 주말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구한 것은 최소한 한 명의 낙마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야당 대표까지 만나고 모든 후보자를 밀어붙일 경우 독주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한 낙마자 제로는 이 대통령의 결단을 부각하기 위한 전술이었다. '낙마자는 없다'는 여당의 강경론에도 이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야당과 민심을 수용하는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진 사퇴가 아니라 지명 철회라는 강수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을 취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7.16 mironj19@newspim.com 관심은 낙마자가 한 명이냐, 아니면 두 명이냐였다. 두 후보자 모두 낙마 1순위였다. 한 명을 살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상막하였다.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이 불거진 데다 전문성도 결여돼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이 후보자의 낙마는 사실상 결정된 상태였다. 여기에 강 후보자까지 포함시킬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파상 공세를 취하는 야당이 문제가 아니었다. 두 후보자에 대해 진보색이 강한 시민 단체마저 낙마를 요구했다. 여론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자칫 지지 세력이 등을 돌릴 수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이 후보자 낙마와 강 후보자 구제는 여당 기류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대통령실 주변에서 "이 후보자는 외부에서 추천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 것은 낙마자가 나올 경우 1순위는 이 후보자가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낙마하더라도 부담이 덜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당 분위기는 더 노골적이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입단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하듯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난주 중반까지 여론이 싸늘했지만 그 이후 당 주변에서는 더 이상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달랐다. 김상욱 의원에 이어 강득구 의원이 공개적으로 이 후보자를 비판하며 거취를 거론했다. 강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 결격 사유"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 낙마로 분위기를 몰아가는 듯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문제가 컸지만 이재명 정부가 전면에 내세운 유능함도 보여주지 못한 게 결정적이었다. 여권이 갑질 논란이 심했던 강 후보자를 감싼 논리가 유능함이었다. 청문회 과정에서 유보 통합 등 교육 정책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조차 숙지하지 못해 전문성에 심각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여당 의원들조차 "어떻게 그런 것도 대답을 하지 못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정도였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인사청문회를 거쳤지만 임명이 안 된 11명의 장관 후보자 중 지명 철회는 이 후보자 한 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강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을 것임을 시사했다.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을 강행하려면 절차상 국회에 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해야 하는 만큼 이 대통령은 이른 시일 내에 관련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한다고 해도 부담은 남는다.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한 상당수 민주당 보좌진들과 정서적으로 등을 지게 될 수밖에 없다. 강 후보자 사퇴를 요구한 시민단체의 입장도 부담이다. 야당은 여론을 돌리기 위한 파상 공세에 나서고 있다. 강 후보자도 갑질 장관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에서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향후 여론 추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leejc@newspim.com 2025-07-21 06:4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