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连云港海州:乘"数"而上,"慧"就现代农业新图景

기사입력 : 2023년04월25일 14:16

최종수정 : 2023년04월25일 14:16

纽斯频通讯社首尔4月25日电 仲春时节,农事渐紧,走进位于江苏省连云港市海州区新坝镇魏口村的5G+数字化无人农场,一幅"只此青绿"的万亩良田图景映入眼帘:正值抽穗期的小麦在阳光下随风摇曳,植保无人机自低空掠过,将配置好的水剂均匀地喷洒向麦田;另一头,带有北斗导航的机车在田间来回穿梭,对土壤墒情良好的地号进行分层定量施肥作业,及时补充"营养套餐",有了"北斗+5G"的加持,每一颗农作物都在科技的守护下成长。

【图片=连云港海州区提供】

这里是连云港市首个5G+数字化智慧农场,设置了5G专网基站,利用5G大带宽、低时延特性,实现了拖拉机、插秧机、收割机等十几种品牌农机设备的高速互联,并通过加装远程作业监测终端,实现作业质量实时回传、作业面积精准计算。同时结合北斗高精度定位技术,误差不超过±2.5厘米,降低10%的人力成本。

【图片=连云港海州区提供】

但在几年前,魏口村还是省定经济薄弱村,农业基础设施薄弱,土地产出率不高,如何闯出一条农业增效、农民增收的新路?海州区通过建设集中连片、设施配套、道路畅通、管网相连的高标准农田,同时推进土地流转,加大农业结构调整力度,发展千亩食用菌种植、优质蔬菜培育等产业,土地流转每年提高农户收入千余元,带动500名村民就业增收。去年,海州农发集团又打造了以"农机可视化、种植信息化、灌溉智能化"为核心的5G+数字化智慧农场,目前已实现耕、种、管、收四大领域的全程机械化、精准化、无人化作业,亩均纯收入增长10%以上,辐射周边10个村年集体经济百余万元。

【图片=连云港海州区提供】

从零散田块变为平整广阔地,从中低产农田变身高效良田,近年来,海州区在补齐农业基础设施短板基础上,强化大数据与乡村振兴深度融合,大力实施规模开发、效益开发、科技开发和生态开发,昔日的荒芜土地,如今成为农民口中的致富良田。

徜徉于新坝镇小荡村占地592亩的连云港南拓区蔬菜产业化种植基地,只见一排排钢筋构架错落有致,整齐排列,一旁还有挖掘机、铲车开足马力加班加点,棚内村民正躬身忙碌,勾勒出春日农忙的美丽画卷。

"我们规划布局温室种植区域、智慧种植区域、配套服务区域3个部分,通过打造精品蔬菜产业集群示范区,加快培育一批规模适度、带动能力强的设施蔬菜种植大户、家庭农场等新型经营主体。"一旁的项目负责人介绍。据悉,该项目总投资3亿元,主要种植网纹瓜、草莓、西瓜、西红柿等作物,同时还配套智能化的育苗中心、生产中心、分拣中心和水肥中心等,建成后年产蔬菜4.2万吨,预计带动周边就业300余人。

【图片=连云港海州区提供】

类似的场景,不止出现在这一地。近年来,海州区在加快传统农业现代化改造的同时,积极推进大数据、物联网、人工智能技术在农业生产领域中的应用,围绕新204国道改建形成的交通轴,扶持沿线乡镇分别形成国家级农业示范园区和大型田园综合体等特色产业,同时加强与科研院所、农机制造企业合作,打造蔬菜生产机械化、智慧化牧场等一批智慧型、数字化的高效农业示范园区和家庭农场,持续聚集资金、技术、人才、装备、信息等要素资源进入大农业领域,依托龙头企业延长产业链条,推进绿色产业链发展,大力发展乡村旅游、农村电商等乡村富民产业,开展"村播打造计划",推行农产品直采直供,成功架起了农民与市场的桥梁。

【图片=连云港海州区提供】

产业兴则乡村兴。海州农发集团董事长朱泽东表示,下一步将多维发力实施数字农业建设项目,积极推进5G、云计算、大数据、物联网、人工智能等新一代信息技术与都市农业产业深度融合,为乡村振兴插上腾飞的翅膀,让数字技术在乡村的广阔天地发挥更大的作用。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尹 지지율 3%p 하락한 32.2%…"채상병 특검법 재공방 등 영향"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소폭 하락하며 30%대 초반을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잘하는 편+매우 잘함)는 지난 조사(35.2%)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32.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잘못하는 편+매우 못함)는 62.2%→65.3%로 3.1%p 상승하며, 긍·부정 격차는 지난 조사 대비 27.0%p→33.1%p로 격차가 벌어졌다. 성별로 남성은 긍정 29.2%, 부정 69.2%, 여성은 긍정 35.3%, 부정 61.4%다. 연령별로 만18~29세는 긍정 25.2%, 부정 72.3%다. 30대는 긍정 26.8%, 부정 72.2%, 40대는 긍정 18.0%, 부정 80.4%로 가장 낮은 지지율 나타냈다. 50대는 긍정 29.1%, 부정 69.5%, 60대는 긍정 43.5%, 부정 54.3%, 70대 이상은 긍정 54.2%, 부정 39.2%다. 지역별로 서울은 긍정 29.5%, 부정 67.6%, 경기·인천은 긍정 29.5%, 부정 68.7%다. 대전·충청·세종은 긍정 32.8%, 부정 67.2%, 강원·제주는 긍정 36.8%, 부정 60.7%다. 부산·울산·경남은 긍정 35.8%, 부정 63.6%, 대구·경북은 긍정 46.6%, 부정 47.6%다. 광주·전남·전북은 긍정 24.3%, 부정 69.7%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종부세 폐지·상속세율 인하 예고 이후 국정 지지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청년층과 40대의 취업률 저하 등 체감 민생경제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장기화,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의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발의 발언으로 인한 공방, 소련 해체 후인 1996년에 폐기됐던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사실상 부활한 러시아-북한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로 안보 불안 등이 지지율을 하락하게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2.9%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imsh@newspim.com 2024-06-27 06:00
사진
친족간 재산범죄 처벌 가능해진다...‘친족 상도례’ 헌법 불합치 결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8촌 내 혈족이나 4촌 내 인척·배우자 간 발생한 절도·사기죄 등 재산범죄에 대한 형을 면제하는 '친족상도례' 조항은 헌법에 위배된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헌재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형법 제328조 제1항에 대한 위헌확인 소송 4건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헌정사 최초 '검사 탄핵' 사건인 안동완 부산지검 검사 탄핵사건을 비롯해 종합부동산세, KBS 수신료 분리 징수,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에 대한 대체복무역 관련 헌법소원 등의 선고를 앞두고 재판정에 자리해 있다. 2024.05.30 choipix16@newspim.com 형법 제328조 제1항은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 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제323조의 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적장애 3급의 장애인인 청구인 김모 씨는 삼촌 등을 준사기,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하지만 검찰은 그에게 청구인의 동거 친족으로서 형면제 사유가 있다는 이유로 공소권 없음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아울러 횡령 혐의로 계부를 고소한 또 다른 청구인 김모 씨,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부친을 대리해 업무상횡령 혐의로 부친의 자녀들을 고소한 장모 씨, 어머니 명의 예금을 횡령한 혐의로 동생과 그 배우자를 고소한 청구인 최모 씨도 모두 비슷한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에 김씨 등은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친족상도례는 과거 가정 내부의 문제는 국가형벌권이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고려와 함께 가정의 평온이 형사처벌로 인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실질적 유대나 동거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고, 또한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에 대해 동거를 요건으로 적용된다"며 "이처럼 넓은 범위의 친족간 관계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에도 일률적으로 형을 면제할 경우, 경우에 따라 형사피해자인 가족 구성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희생시키는 것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판대상조항은 강도·손괴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재산범죄에 준용된다"며 "이러한 재산범죄의 불법성이 일반적으로 경미해 피해자가 수인 가능한 범주에 속한다거나 피해의 회복 및 친족간 관계의 복원이 용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피해자가 독립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무 처리능력이 결여된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적용 내지 준용하는 것은 가족과 친족 사회 내에서 취약한 지위에 있는 구성원에 대한 경제적 착취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것이다. 헌재는 "그런데 심판대상조항은 이같은 사정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법관으로 하여금 형면제 판결을 선고하도록 획일적으로 규정해, 대부분의 사안에서는 기소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에 형사피해자는 재판절차에 참여할 기회를 상실하고, 기소가 되더라도 '형의 면제'라는 결론이 정해져 있어 형사피해자의 적절한 형벌권 행사 요구는 실질적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끝으로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의 위헌성은 일정한 친족 사이의 재산범죄와 관련해 형사처벌의 특례를 인정하는 데 있지 않고, '일률적으로 형면제'를 함에 따라 구체적 사안에서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을 형해화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판시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에 대해 단순 위헌결정을 하는 대신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면서 그 적용을 중지해 내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 기한을 뒀다. 개선입법이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조항은 202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한편 이날 헌재는 형법 제328조 제2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단도 내렸다. 형법 제328조 제2항은 '제1항 이외의 친족간에 제323조의 죄를 범한 때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피해자의 고소를 제한하는 규정이 아니고,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사나 기소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피해자가 사건 재판절차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견을 진술하는 등 법관에게 적절한 형벌권을 행사해 줄 것을 청구하는 절차적 권리가 제약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심판대상조항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적·문화적 특징 등을 고려해 일정한 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재산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고소를 소추조건으로 정해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국가형벌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합리적 이유가 있다"고 부연했다. hyun9@newspim.com 2024-06-27 15: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