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명 시인 세 번째 시집 '자꾸 눈물이 난다' 출간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한양명 시인이 세번 째 시집을 상재했다.
80년대 후반 '나아가는 문학'으로 시를 발표하면서 서른 여섯 해 만이다.
시인의 두번 째 시집 '허공의 깊이(2012, 도서출판 애지)' 출간 이후 11년만이다.
"물화되고 강제된 세계를 '시린 반성'의 언어로 세상을 향한 성찰을 나지막하면서도 깊은 울림으로 두들기며 독특한 서정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시인이 이번에 세상을 향해 던진 화두는 '눈물'이다.
그저 괜시리 흘리는 눈물이 아니라 눈물 한 방울 없이 치닫는 세상을 두들기는 '성찰'의 경고이다.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한양명 시인의 세번 째 시집 '자꾸 눈물이 난다(2023.천년의시작)' 2023.08.17 nulcheon@newspim.com |
시인의 세번 째 시집이 주목되는 것은 시집 전 편을 관통하는 '눈물'이 자아의 아픔에 머물지 않고 세속의 성찰을 깨치는 울림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점점 눈물이 많아진다/까마귀 떼 지어 날아가도 눈물이 나고/처머에서 빗물이 떨어져도 눈물이 난다/시드는 꽃잎을 봐도 눈물이 나고/빈 논에 남겨진 볏짚을 봐도 눈물이 난다/왜 나이 들수록 보이지 않던 게 보이고(중략)/ 적막의 시간이 눈을 열어/ 그동안 지나나쳐 버린 걸 보이게 해서일까(중략)" <한양명 시 '자꾸 눈물이 난다' 부분>
시인의 눈에 세상 모든 것은 '아픔'이다. 그렇다고 '아픔'은 시인에게 머물지 않는다. 끊임없이 세상을 향해 흐른다.
시인에게 끊임없이 '눈물'을 잣아올리는 것은 무엇일까. 무엇이 시인으로 하여금 눈물을 흘리게 하는 것일까. 왜 시인은 눈물을 흘리며 아파하는 것일까.
시인은 '눈물'의 뿌리를 '인연(因緣)'에서 찾는다.
'인연'의 사전적 정의는 '결과를 내는 원인(因)과 조건(緣)을 가리키는 불교용어이다.
"눈 그친 산자락에 별빛 내려앉는데/그대 떠난 자리에 찬바람 들어앉네/이번 생의 인연은 언제 다 그칠거나/불면의 적설(積雪)은 귀천을 꿈꾸는데" <한양명 시 '송인(送人)' 전문>
시인에게 사물은 각각이 아니라 씨줄과 날줄로 이어진 연(緣)으로 이루어진 우주이다.
때문에 시인에게 모든 사물은, 세상은 "단순히 마음을 투영하는 대상이 아니"라 "자연과 사물과 깊이 있는 교류를 통해 지금과는 다른 존재, 다른 세계로 가는 길을 열어젖히"는 일이다.
시인의 시 전편에 흐르는 '눈물'은 끝모를 듯 이어지는 인연을 보듬어 다른 세계로 이끄는 매개물이다.
"지난 생(生)에는 도요새였다 때론/날갯짓 부추기는 산들바람이었다가/바람에 두근대는 버들가지였으며/ 먼 비행을 앞두고 잠시 머무는/ 적막한 연못의 수면이었다/(중략) <한양명의 시 '도요새' 일부>
시인을 눈물 흘리게 하고 온 종일 통증으로 내모는 것은 자신을 둘러싼 인연이다.
그렇다고 시인은 자신을 종일 아프게 하게하는 인연을 스스로 내치지 않는다.
오히려 시인은 종일 자신의 영육을 통증으로 내모는 인연을 고스란히 받아들인다. 때문에 시인의 언어는 자신(我)에 머물지 않고 세상의 모든 것들을 향해 나아간다.
시인을 자신에 가두지 않고 세상으로 나아가게 하는 동력은 '아픔'에서 비로소 얻는 '성찰'이다.
시인의 노래가 우리에게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 까닭이다.
"뿌리나 줄기에/아무렇게나 돋아나서/나무가 잘 자라게 하려면/없애야 하는 덧눈, 문득/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인간이/왜 세상에 나왔는지 모르겠다며/하염없이 눈물짓곤 하던 그대를/생각나게 하는 눈" <한양명 시 '막눈 2' 전문>
"깨달음을 얻기 위해 오지 않았다/아무리 애를 써도 깨달을 수 없음을/ 무슨 수를 써도 인연의 사슬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알기에 여기로 와/관세음보살 기다리는 극락전이 아니라/ 남해의 풍경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하여<중략>/ 주차장에서 기다리는 늙은 아내와/그녀의 통증을 향해 삼배를 올렸다/지금까지 버텨 줘서 고맙다고/버틸 만큼만 아프게 해서 고맙다고/ 마음을 다해 진통의 예를 갖추었다"<한양명 시 '남해금산' 일부>
"밤길 홀로 걷다 하늘을 보니/어떤 별은 더 밝게 빛나고/어떤 별은 차츰 빛을 잃어 가네/누군가 새로운 꿈을 꾸고/ 누군가 오랜 꿈을 접는 것이네"<한양명 시 '별' 전문>
평론가 오홍진은 시인의 시 '별'에서 '막눈 2'에서 '남해금산'에서 시인의 '아픔'의 샘을 만난다.
오홍진은 "모든 시간을 사는 생명들의 피고 지는 그 자리에 시인이 있다"며 "타자의 아픔을 제 몸에서 일어나는 아픔으로 받아들이는 마음결"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서 "동짓달 찬바람을 피해 방안으로 기어드는 벌레들에게 슬며시 곁을 내주"고 "산을 집삼아 사는 생명과 허교(許交)하"는 시인에게서 "이분법적 인식으로 생명의 쓸모를 나누는" 세상에 던지는 시인의 성찰을 통한 나즈막하면서 강한 경고를 읽어낸다.
"삼월도 다 가지 않은/ 봄 같지 않은 봄인데/ 꽃다지며 민들레며 씀바귀며/하고 많은 풀들이 올라온다/ 내 집에 오라 초대한 적 없건만/ 제멋대로 들어와 움을 틔우더니/ 이제는 대놓고 무리까지 짓는다<중략>/ 그래도 살겠다고 찾아든 것이라/ 못 본 체하고 내버려 두었더니/ 이제는 나름대로 한몫을 해서/ 잎이며 뿌리가 밥상에 올라오고/ 볼만한 꽃도 수줍게 피운다"<한양명 시 '불법체류' 일부>
"법칙을 중시하는 과학에 매여 사물을 사물 자체로 놔두질 않"고 "유용성이 사물의 가치를 결정하는 유일한 수단이 되어버린" 세계를 향한 시인의 눈물과 아픔은 언제쯤 긎고 잦아들것인가.
시인은 세번 째 시집 출간의 소회를 묻은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모든 인연은 눈물을 품고 있다."
시인이 시적 언어를 통해 자아와 세계를 잇는 삶의 자세이다.
한양명 시인은 1987년 '나아가는 문학'으로 문단에 이름을 올린 후 2006년도에 첫 시집 '한 시절(모아드림)'을, 2012년에 두번째 시집 '허공의 깊이(애지)'를 출간했다.
한국작가회의와 안동작가회의에서 활동하고 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