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사업 설명회 '2023 한화 배터리데이' 개최'
"한화에어로, 방산·우주항공용 배터리 제작 검토"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한화가 실리콘 음극재와 전고체 등 차세대 이차전지 공정과 방산 분야 이차전지 개발에 나서는 등 배터리 사업을 확대하고, 2030년까지 매출 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화 모멘텀부문 목표 매출 [그래픽=㈜한화 모멘텀부문] |
㈜한화 모멘텀부문은 4일 서울시 여의도 63빌딩에서 이차전지 사업설명회 '2023 한화 배터리데이'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한화 모멘텀부문은 이차전지 공정 '장비 솔루션'을 통해 매출 2027년 1조4000억원, 2030년 최대 3조원까지 키우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한화 모멘텀부문은 자사의 경쟁력으로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 필요한 모든 설비를 제공하는 '장비 솔루션'을 내세웠다.
이차전지 생산 공정은 크게 양극 활물질-전극-조립·화성-모듈·팩 등 4단계를 거친다. 국내외 경쟁사들은 이 중 1~2개 단계에 들어가는 장비들만 공급하고 있지만, ㈜한화 모멘텀부문은 전 공정에 들어가는 장비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한화 모멘텀부문은 세계 최대 생산능력(CAPA)을 갖춘 소성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하는 양극재는 양극 활물질을 950℃에서 12시간 이상 합성하고 열처리해 만들어 지는데, 이 공정에 필요한 소성로 크기에 따라 공장 규모와 양극재 생산량이 결정된다.
류양식 이차전지사업부장은 "기존에 사용하던 4열 3단 소성로보다 롤러 길이가 긴 6열 2단 고강도 롤러를 개발 중"며 "소성로 당 월간 생산량도 기존 3000톤(t)에서 5000t까지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인화와 자동화에 방점을 둔 '스마트 팩토리' 상용화에도 집중한다. 류양식 이차전지사업부장은 "전극 코팅 공정은 배터리 품질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공정이지만, 현재는 숙련공의 손끝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며 "무인화 코팅, 주름·단선 예측 및 자동 보정, 예지 보전 시스템 등 공정 스마트화를 통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한화 모멘텀부문은 4일 서울시 여의도 63빌딩에서 이차전지 사업설명회 '2023 한화 배터리데이'를 개최했다. [사진=㈜한화 모멘텀부문] |
㈜한화 모멘텀부문은 차세대 양극재 공정 장비, 실리콘 음극재 공정 장비, 전고체·건식극판 공정 장비, 차세대 폼팩터용 조립설비도 개발 중이다. 이형섭 ㈜한화 모멘텀부문 R&D센터장은 "신소재와 공법이 활용된 미래 기술을 선점해 생산성과 원가를 개선할 것"이라며 "전고체 배터리와 실리콘 음극재 등 차세대 배터리 및 물질에 필요한 공정을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의 방산 부문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방산 분야의 특수 배터리 제작에도 나선다. ㈜한화 모멘텀부문은 배터리 생산 여부에 대해 "전기차 배터리 외 방산과 항공우주에 쓰일 특수 배터리는 자체적으로 내재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제작에) 협력할 것"이라며 "(기존 전기차 배터리사 등) 고객사와 사용처가 겹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 모멘텀부문은 이차전지, 태양광,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 등을 담당하는 사업부다. ㈜한화 모멘텀부문 이차전지사업부는 다년간의 플랜트 사업을 통해 열처리 장비 및 자동화 기술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2009년 소재 및 전극 공정 장비를 출시해 이차전지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2020년부터는 사업부 체제로 조직을 개편해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양기원 ㈜한화 모멘텀부문 대표는 "이차전지 산업의 전 공정을 포괄하는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우리나라 이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하겠다"며 "중국을 이기고 세계 1위 장비업체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