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생활경제

속보

더보기

18년만의 회장 승진 정용진, 신세계의 짐은 무겁다

기사입력 : 2024년03월08일 10:21

최종수정 : 2024년03월08일 10:21

이마트 지난해 사상 첫 적자
쿠팡에 업계 1위 자리 내줘
알리·테무 등 中 공세도 악재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 강조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18년만에 회장으로 승진했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환경이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며 승진 배경을 설명했다. 이마트가 지난해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하며 사실상 쿠팡에게 유통업계 1위 자리를 내주면서 위기감이 고조되자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지금 신세계는 중대한 생존 기로에 놓여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신입사원 면접에 참석해 질의 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신세계]

◆쿠팡에 밀리고 중국 저가 공세에 치이고...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을 둘러싼 유통업계 경영환경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우선 '유통업계 1위' 타이틀이 무색해졌다.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액은 물론 영업이익에서 쿠팡에게 뒤졌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규모는 사상 최대인 29조4722억원을 기록했지만, 46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로 돌아섰다. 이마트가 지난 2011년 상장한 이래 첫 적자다. 표면적인 이유는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종속회사인 신세계건설의 부진이다. 신세계건설은 공사 원가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분양실적 부진, 예상되는 미래 손실 선반영으로 1878억원의 영업손실을 반영했다.

다만 본업인 이마트의 실적 하락 폭 역시 컸다는 점도 지적됐다. 별도기준 이마트는 매출액이 16조550억원으로 전년(16조9020억원) 보다 마이너스(-2.1%)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이 보다 더 큰 폭으로 떨어졌는데, 이마트의 지난해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1880억원. 전년(2589억원) 대비 27.4% 줄었다.

반면 쿠팡은 지난해 연 매출 31조8298억원으로 매출 30조원 고지를 넘어섰고, 연간 영업이익은 6174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영업흑자를 달성했다. 쿠팡이 로켓배송을 시작한지 10년 만에 오프라인 최대어를 따라잡은 셈이다.

쿠팡이 사실상 온오프라인 통합 1강으로 치고 올라온 사이 이마트 계열의 이커머스 계열사들의 부진은 여전하다. SSG닷컴과 G마켓의 지난해 매출액은 1조6784억원, 1조196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8%, 9.2% 하락했다.

수익성 지표에서도 여전히 낙제점이다. G마켓이 지난해 4분기 분기 기준으로 첫 흑자(2억원)를 달성했으나 여전히 321억원의 연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SSG닷컴은 이보다 더 큰 1030억원의 손실을 내고 있다. 그나마 SSG닷컴(+82억원)과 G마켓(+334억원)이 각각 전년 보다 적자 폭을 줄였다는 게 위안거리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의 공세도 신세계에게 악재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 모바일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818만명으로 2위로, 1위 쿠팡(3010만명)을 추격하고 있다. 테무도 581만명으로 4위에 올랐고, G마켓은 553명으로 5위에 그쳤다. 사용자수도 전년 동월 대비 102만명이 줄었다. SSG닷컴은 8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신세계 남산'에서 열린 신입사원 수료식에 참석해 신입사원과 셀카를 함께 찍고 있다. [사진=신세계]

◆"완전히 다른 혁신"...정용진 회장의 리더십은?
신세계그룹은 이번 인사를 두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을 '정면돌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신세계그룹은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유통 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쏟아지고 있다"며 "그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더욱 필요해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용진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수익성 강화를 강조했다. 기업 활동의 본질은 사업 성과를 통해 수익 구조를 안정화하고 이를 재투자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라며, 2024년에는 경영 의사 결정에 수익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신세계는 지난달 신세계건설의 레저사업부문을 조선호텔앤리조트로 매각하며 재무구조 개선에 나섰다. 이마트는 지난해 9월 예년보다 이른 조직개편과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하고 오프라인 매장인 이마트와 에브리데이, 이마트24를 한채양 대표 통합 체제로 전환했다. 이마트의 최대 강점인 전국에 퍼진 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과거 '1등 유통 기업'의 자리에 머물지 않고 한 단계 더 도약할 기로에 서 있는 신세계그룹이 정 신임 회장에게 부여한 역할은 막중하다. 신세계그룹은 "신세계는 국내 유통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제공해 왔다"며 "정용진 회장 승진으로 치열하게 변화하는 혁신기업으로 성장을 이어나가겠다"고 전했다. 

syu@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